형식적 강의평가의 원인이 평가에 대한 교수들과 학생들의 '불신'으로 지적되고 있어 강의평가에 대한 인식개선과 함께 제도의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22일 지역대학에 따르면 대부분의 대학은 학기 말 학생들이 수강한 과목과 담당 교수를 인터넷 상으로 평가하는 강의평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들은 강의평가 목적으로 강의의 질적 향상과 교수 평가 지표 활용 등을 내놓고 있지만 이런 목적을 제대로 살리고 있는 대학은 드물다.
강의평가를 교수들의 업적평가에 반영하거나 지원금을 지급하는 경우는 있지만, 강의평가만으로 직접적인 상벌기준을 마련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대학들은 강사 임용이나 재계약 시 강의평가를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등 소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업적평가에 반영하는 경우도 전체 배점의 일부로 반영할 뿐 강의평가 자체로 반영하지 않아 그 영향력이 막강(?)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에 대해 대학 관계자들은 '강의평가'에 대한 교수들과 학생들의 '불신'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은 강의평가 시스템을 성적열람 과정 직전에 두고 있는데, 자신의 성적이 궁금한 학생들이 강의평가를 꼼꼼하게 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때문에 마치 객관식 시험에서 특정 번호로 '몰아 찍기'를 하듯 성의 없는 평가가 비일비재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강의평가가 향후 어떻게 처리되는지 관심을 갖기 어렵고, 교수들 역시 학생들이 성적열람을 위해 한 형식적인 평가를 신뢰할 수 없게 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학교도 강의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배재대는 학생들의 불성실한 응답을 막기 위해 평가문항에 긍정형 문항과 부정형 문항을 섞어 '몰아 찍기'를 할 경우 불성실 응답자로 분류되도록 조치했지만, 불성실 응답자가 여전히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송대도 이런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1학기에는 학기 중 강의평가를 실시하는 '중간강의평가 제도'를 도입했지만, 학생들의 응답률이 20~30%대로 낮아 현재는 운영을 중단한 채 제도를 보완 중이다.
결국 '학생들의 성실한 평가'가 이뤄진다면, 학교가 이를 강력한 견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고 교수들도 그런 평가결과를 부정할 수 없게 된다는 얘기다.
사립대의 한 관계자는 “기존 강의평가의 신뢰도가 많이 떨어진 상황인데 (평가의)신뢰도만 생기면 교수들도 (평가 결과를)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강의평가의 성패는 결국 학생들이 얼마나 알차게 평가를 해 주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강순욱 기자 ksw@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