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인간이 된 남편. 연이는 남편 진우를 깨워보려 백방으로 애를 쓰지만 차도가 없다. 그런 그녀 앞에 남편과 용모는 물론 목소리까지 똑같은 쌍둥이 동생 진호가 나타난다. 진호는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진호의 손길을 차갑게 거절하던 연이는 조금씩 마음의 문을 연다.
‘비밀애’의 연이는 남편 진우가 하루빨리 식물인간 상태에서 깨어나기를 바란다. 그런데 갑자기 남편의 쌍둥이 동생 진호가 나타난다. 외모와 성격이 남편 진우와 똑같은 진호. 심지어 처음 만나 사랑을 느꼈던 사람도 실은 남편 진우가 아니라 진호였다. 연이는 고민한다. 왜 나는 남편과 사랑에 빠졌을까. 남편을 사랑하기는 한 걸까. 여기 남편과 똑같은 진호가 서있는데.
“우리는 사랑은 운명이라고 말을 많이 한다. 이는 진정한 사랑이 뭔지 모르겠다는 말과 같다. ‘비밀애’는 운명론적 사랑과 그 균열로 인한 혼란을 그린 영화다.” 류훈 감독은 “사랑은 운명이야”라고 외치는 다른 멜로영화들과 달리 “사랑은 과연 운명인가”라고 되묻는 영화라고 선을 긋는다. 나름 신선한 이유다. 아름다운 로맨스 영화를 기대했다면 크게 실망할 수도 있다.
사랑은 과연 운명인가, 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작은 디테일, 내러티브 사이의 공백까지 세세하게 공을 들였다. 화제가 된 베드신도 솟아오르는 감정의 표현을 노출 중심의 성행위가 아닌 사랑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지극히 절제된 장치로 활용한다. 진우 진호와 연이, 이들 삼각관계에 놓인 그들의 심리 상태와 감정 상태를 표정과 행위에 결부시켜 묘사하는 것이다. 보여주고 설명하고, 부족하면 내레이션을 넣는다.
‘비밀스런 사랑’을 촘촘하게 묘사하고 꽉 들어맞는 정합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 결과가 성공적이라곤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선뜻 납득이 가지 않는 설정과 극의 흐름을 끊어 놓는 장면들이 문득문득 등장한다. 아무리 쌍둥이라는 걸 숨겼다가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장난을 좋아하는 형제라지만 결혼하고 사고가 나도록 그 사실을 전혀 모르다가 공항에서 시동생을 보고 숨이 멎을 정도로 놀라는 형수라니.
형 진우가 ‘기적적으로’ 깨어난 뒤부터는 위험한 치정극은 미스터리 복수극으로 탈바꿈한다. 특히 극 후반부에 이르면 쌍둥이의 사투에 밀려 연이는 거의 빈 존재가 된다. “당신이 사랑했던 사람은 누구야?”라는 질문에 연이는 “지금 내 앞에 있는 당신”이라고 말한다. 이 말은 “모르겠다”는 체념처럼 들린다.
류훈 감독은 쌍둥이 형제를 통해 사랑한다는 것이 과연 상대의 몸뚱아리냐, 영혼이냐를 묻고 싶었을 것이다. 하지만 형인지 동생인지 도통 헷갈리는 탓에, 사랑의 실체는 과연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성찰은커녕 연이가 사랑한 사람은 형이야, 동생이야? 하는 통속적인 관심만 불필요하게 키운다. ‘비밀애’는 대중성과 예술성과 작품성이란 세 마리 토끼를 잡고 싶었던 듯하다. 그러나 작품성보다 노출 수위가 화제가 되는 현실과 똑같은 길을 가고 말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