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지역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전지역 귀금속 소매점 규모는 호황기였던 지난 2007년 800여 곳에서 현재 350여 곳으로 급속도로 줄어들었다.
금 3.75g(1돈쭝)의 소매가격 역시 2007년 7만 원대에서 현재에는 17만 원대로 치솟아 소비가 위축되면서 귀금속 업계가 휘청거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살길을 찾아 일일 노동 등에 나서는 폐업 금은방 주인에 대한 절도범들의 러브콜(?)이 적지 않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귀금속 등 장물을 절도한 범죄자에게는 귀금속을 현금으로 바꿔줄 수 있는 일명 '브로커'가 필요하기 때문.
일반 금은방은 절도 등과 관련된 장물을 취급할 경우, 형사 처벌 등에서 자유롭지 않아 의심쩍은 장물은 손도 대지 않는 상황이다.
하지만 폐업한 금은방 주인들은 상황이 다르다. 그동안 거래해오던 귀금속 도매상과의 연락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절도범들이 폐업 주인들만 제대로 이용한다면 범죄 사실을 숨길 수 있는 금세탁(?)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일부 귀금속 도매상의 경우에는 밀수 등 불법적인 거래도 마다하지 않기 때문에 투명하지 않은 현금 거래가 이뤄져 범죄에 이용되기 일쑤다.
금은방을 운영하는 조영진(48·가명)씨는 “대리운전이나 공사현장에서 폐업 금은방 주인들이 일하다 보면 범죄인과의 접촉이 가능하다”며 “범죄와 관련된 장물이라고 하더라도 폐업 후 아직 처분하지 않은 장물이라고 한다면 이를 의심할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대전지방국세청 관계자는 “현물 거래가 잦은 귀금속 업계의 경우, 세금도 피하고 불법도 저지를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며 “세법을 통해 불법 등을 거르긴 하지만 찾아내는 것 역시 쉽지 않다”고 현 실정을 털어놓았다.
경찰 관계자는 “금은방을 털거나 귀금속 관련 절도범의 경우, 관련업에 종사했거나 잘 아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며 “범행이 적발되면 일단 관련 업계 종사 여부부터 조사해 용의선상에 올려놓는다”고 강조했다. /이경태 기자 79ykt@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