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2= 현재 대전지역 폐의약품 수거는 제약회사 도매상이 담당하고 있다. 수거지원 체계가 없어 도매상들은 대전지역 680여개에 이르는 약국들을 분기별로 순회하며 폐의약품을 수거하고 있지만 ‘판매한 사람이 책임지라’는 식의 관리체계에 대해 불만이 높다.
폐의약품의 약국 수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사각지대가 여전하다.
수거나 보관 등에 대한 체계 부족과 예산도 없어 제도 정착까지 정부와 자치단체의 관심과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제약회사, 약사회의 도움을 받아 지난해부터 전국 2만1000여개의 약국 가운데 약 78%에 이르는 1만6452개의 약국에 폐의약품 수거함을 비치했다.
대전과 서울지역 시범 실시 후 전국적으로 폐의약품 수거를 확산해 나가고 있지만, 충남의 시군을 비롯한 약사회에 가입돼 있지 않은 무적회원, 수거함 제작업체와 거래하지 않는 약국 등은 아직까지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대전시의 경우 지난해 폐의약품 회수실적은 7310Kg 으로 서울시 2만9890Kg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거 실적을 보이고 있다.
반면 충남도는 천안과 아산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실시한 결과, 550Kg수거에 그쳤다. 아직까지 충남도내 나머지 14개 시ㆍ군지역 약국에서는 폐의약품 수거를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
상당수 도내 시ㆍ군지역에서는 여전히 폐의약품을 하수구에 흘려 버리거나 분리수거 없이 처리하고 있어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도는 올해 10개 이상 시ㆍ군지역으로 폐의약품 수거 운동을 확대하는 한편 홍보를 위해 6000만원의 예산을 세워놓았으나 홍보부족으로 제도 정착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대전지역은 정부 시행에 앞서 대전시약사회의 제안에 따라 1년 앞서 운동이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거를 위한 예산이 전혀 배정돼 있지 않고, 전적으로 제약회사에 수거를 맡기고 있는 형편이어서 수거체계 정착은 미지수다.
대전시 약사회 관계자는 “대전지역의 5개 제약회사 도매상이 분기별로 약을 수거하고 있지만, 자치단체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배려가 없다면 판매자 수거 원칙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며 “다른 환경오염원에 대해서는 판매자와 상관없이 자치단체가 수거하면서 유독 약만 판매자에게 책임을 지우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예산배정이 없어 담당자들이 직접 발로 뛰면서 홍보 활동을 벌였다”며 “약사회의 관리를 받지 않는 일부 약국과 수거함 비치가 안된 사각지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지도를 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거된 폐의약품은 자치단체의 보건소에 보관했다 분기별로 소각장에서 고온 소각 처리하고 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