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점검 기간 중 그동안 분리돼 사용됐던 일반직공무원과 공연분야 전문직 직원의 사무실이 한 공간으로 합쳐진 것.
▲ 박은희 문화.교육팀 |
계약직 직원(공연분야 전문직)이 정규직 직원(공무원)과의 동거에 동의했을 리 난무하다. 신분 차이와 업무 특성이 첨예한 상황에서 함께 하자고 손을 먼저 내밀었을 거라 생각되지 않는다.
내부 결속을 다진다는 결정에 무조건 반기를 들려 하는 것은 아니다. 한 조직 안에서 업무 효율성만큼 중요한 것도 없다. 하지만 과연 이번 동거 결정에 구성원들의 공감대 형성이 우선으로 이뤄졌는지 묻고 싶다.
한쪽의 일방적인 결정에 따라 구성원을 몰아놓아 놓았다면 진정 업무의 효율성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는지 의문을 들기 때문이다. 신뢰성이 바탕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과연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뿜어져 나올 수 있을지도 궁금하다.
벌써 수면 아래의 불협화음이 번져나 오고 있다. 숨조차 쉴 수 없는 환경에서‘창의적 사고가 넘치는 품격있는 공연장을 운영하겠다’는 전당의 운영 목표가 얼마나 이뤄질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이런 상황은 대전문화재단도 별반 다르지 않다. 재단 운영의 안정화를 목적으로 공무원이 파견돼 직원들과 한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다.
민간 전문가 주도의 문화예술 진흥을 위해 설립된 재단인 만큼 독립성이 유지돼야 하지만, 재단에서 벌어지는 시시콜콜한 일조차도 시에 즉각적으로 보고되는 상황이 되고 있다.
갈등의 해소는 결코 쉽지 않다. 더욱이 신뢰가 무너지고 서로 감시의 대상으로만 여기는 상황에서는‘끝모를 갈등’만 야기 시킬 뿐이다.
문화의 불모지라는 오명을 벗고 올바른 문화행정이 이뤄지지 위해서는 문화행정을 이끄는 이들의 신뢰가 먼저 정립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 /박은희 기자 kugu9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