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오전 9시 31분께 대전대 공학실험관 3층의 한 실험실에서 불이나 실험실 내부 13㎡와 책상 등을 태운 뒤 수십만 원의 재산피해를 내고 9분 만에 진화 됐다.
중부소방서 관계자는 “실험실 이용자가 전날 전기히터를 틀어놓은 채 퇴근해 밤새 과열되면서 화재가 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발화 초기 연구원이 이를 발견 소화기로 자체 진화에 나서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지만 자칫하면 대형 화재로 이어질 뻔했다.
대학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실 및 실험실에서는 잊을 만하면 화재 등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8월 18일 오후 2시 8분께 유성구 궁동 충남대 산학교육연구관 6층에서 건물내장재에 사용되는 경화제(MEKPO) 자연발화로 불이 났다. 또 지난해 2월 19일 오전 9시 58분께 유성구 신성동 한국화학연구원 연구동 앞에서 아이스박스가 폭발, 40대 연구원이 화상을 입었다.
지난해 1월 8일에는 유성구 화암동 모 기업 연구소 2층 실험실에서 화학물질 실험 중 불이나 연구원 2명이 화상을 입기도 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실에 따르면 연구실안전환경조성법이 발효된 지난 2006년부터 지난해 8월 말까지 전국 대학 및 출연기관 연구실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는 모두 169건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06년 14건 ▲2007년 27건 ▲2008년 70건 ▲2009년(8월 말) 55건으로 해마다 증가세에 있다.
연구실 안전사고가 줄지 않는 이유는 관련법에 명시된 안전점검 및 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연구원들의 안전 불감증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상민 의원은 “대학과 연구기관은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해 연구원들의 안전교육을 체계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