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정비사업이 지지부진한데다 대부분 원도심에서 추진되면서 입주 후 프리미엄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4일 대전시·LH·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지역 정비사업지 조합원들의 현금청산요구가 몇해전보다 크게 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관리처분인가 후 조합원들에게 입주신청을 받았던 중구 A 재개발 지역은 모두 307명 조합원 가운데 123명이 현금청산 요구를 했다. 이처럼 현금청산 요구가 40%에 달하면서 시공사도 난처한 입장에 처했다.
시공사는 일부 철거를 진행했지만 늘어난 현금청산 조합원들과 경기불황까지 겹쳐 사업추진에 이·삼중고를 겪고 있다.
반면 몇해전 사업을 진행했던 중구 B지역은 현금청산 조합원 비중이 4%(조합원805명·현금청산32명), 대덕구 C지역도 3%(275명·8명)에 머물러 대조를 이루고 있다. 재개발 및 재건축 지역에서의 현금청산 요구가 불과 몇해만에 10% 내외에서 40%대로 크게 늘어난 것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옛 대한주택공사)가 진행했던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원주민 재정착률도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은 민간 도시정비사업과 달리 아파트 입주권이 없이 일괄보상 후 조합원의 선택으로 특별공급방식을 취한다.
민간사업과 같은 현금청산 요구는 없지만 조합원에 해당하는 원주민들의 재정착률도 낮아 애를 태우는 것은 마찬가지다.
LH가 추진했던 원주민 정착률은 중촌 41%(원주민143명·입주58명), 합숙소 34%(262·88), 용운 42%(298·124), 성남2 52%(187·98), 용두 63%(521·327), 신흥 38% (266·100) 등 평균 45%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금융위기, 부동산 경기침체, 늘어난 미분양 물량 등으로 조합원들이 정비사업으로 자산가치 상승 기대감이 사라진 것을 이유로 분석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공사 입장에서도 현금청산요구가 늘어나면 일반분양물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사업에 부담을 느낄수 밖에 없다”며 “가뜩이나 어려운 지방사업장에서 현금청산 요구가 증가하는 등 부담을 느낀 건설사들도 지방사업에서 손을 떼려는 분위기다”고 밝혔다.
/조성수 기자 joseongsu@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