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본보가 대학알리미를 통해 지역대학 전임교원의 지난해 기준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실적을 조사한 결과 1인 당 1편 이상의 논문을 쓴 대학은 서남대 제2캠퍼스(1.1편)와 침신대(1.2편) 두 곳에 불과했다.
2008년도 기준 6개 대학(청운대, 공주대, 침신대, 금강대, 남서울대, 순천향대)이 1편 이상의 논문을 쓴 것과 비교할 때 절반 이상이 줄어든 수치다.
이밖에 선문대(0.9편)와 상명대(0.8편), 단국대 캠퍼스(0.8편)가 두 대학의 뒤를 이었으며, 여타 대학들은 지난해 기준 평균 0.5편의 논문을 발표하는데 그쳤다.
3개 대학은 국내에 한 편의 논문도 내놓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기준으로 볼 때 수치는 더욱 낮아 KAIST가 간신히 1인 당 1건의 논문을 썼을 뿐 나머지 대학은 모두 0편에서 0.2편 사이에 머물렀고 SCI급 논문발표 실적 역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대학들은 교수들의 소극적인 연구 활동이 각 대학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는 상황을 우려하면서도 이렇다 할 묘책을 찾지 못하는 모습이다.
지역대학 관계자들은 이런 현상에 대해 크게 구조적인 문제와 사실상 전무한 불이익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사실상 논문실적과 관련한 지역대학의 상벌규정은 대부분 재임용과 승진에 집중돼 있는데 재임용과 승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정교수 비중이 각 대학마다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벌 규정 대부분이 인센티브에 집중되고 페널티에 대한 규정이 전무한 점도 느슨한 연구 활동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A대학의 경우 승진한 정교수가 일정 기간 동안 논문발표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호봉정지'라는 패널티를 마련하고는 있지만 실제로 적용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 대학은 아예 패널티 기준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당근책'으로 해법을 찾은 경우도 있다. 한남대는 지난해 기준 논문발표 수가 268편이었지만 1월 현재까지 발표된 지난해 논문은 그 두 배가 넘는 550건에 이른다고 밝혔다. 교수들의 논문발표에 대한 비용지원을 국내 최고 금액(500만원)으로 산정한 것이 교수들의 참여도를 높였다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대학 관계자는 “평가구조나 논문발표 관행 상 해마다 평가를 할 수도 없고 페널티를 주는 것도 무리가 있다고 판단해 지원이라는 당근을 제시해 돌파구를 찾았다”며 “학교가 의지를 보이고 교수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강순욱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