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부 지침이지만, 고질적인 인력 부족 때문에 지방에선 100% 수용하기가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대전경찰청은 18개 지구대 2파출소를 운영 중이며 지구대 체제 전환 이후 쓰지 않는 치안센터가 37곳이 있다.
치안센터 가운데 주간에 민원담당관이 배치된 곳은 단 5곳에 불과하고 2곳은 초소 형태로 주·야간 경력이 상주하고 있다.
나머지 30곳은 24시간 텅 비어 있는 것과 다름없다.
경찰청 방침대로라면 이런 치안센터에 밤에도 경찰관 1명 이상이 근무해야 한다.
이곳에는 현재 지구대 또는 파출소에 소속된 직원이 투입된다.
시행 10여 일을 남기고 있지만, 대전의 모든 치안센터에 24시간 경찰 상주가 실현되기는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청 관계자는 “지방청과 각 경찰서 관계자들이 이에 대해 논의하고 있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인력부족으로 112 순찰차 근무인원 편성도 어려운 상황에서 1월 1일부터 모든 치안센터에 경찰관이 배치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지난달 기준으로 44개 지구대 47개 파출소 100여 개 치안센터로 치안지도가 짜여 있는 충남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대전청보다는 인력 운용에 여유가 있지만 모든 치안센터에 경찰관 1명이 24시간 상주한다는 것은 무리라는 판단이다.
이처럼 24시간 치안센터 운영에 난감해 하는 이유는 태부족한 경찰인력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대전 경찰 1인당 담당인구는 626명으로 경기청(705명)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로 과부하가 심하다.
충남 역시 경찰 1인당 담당인구가 536명에 달해 전국 평균 504명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대 근무자들은 이 같은 경찰청 지침에 대해 현실 사정을 고려치 않은 탁상행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인력 충원 없이는 실현 불가능하다는 논리다.
모 지구대 관계자는 “쉽게 말해 동네 골목골목을 순찰하는 지구대 직원을 빼서 빈 건물을 지키라는 것과 다름 없다”며 “1~2명의 인력일지라도 치안 사각지대를 순찰하는 것과 치안센터 내에 있는 것은 천양지차”라고 혹평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