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지난 8월부터 리베이트를 제공하다 적발할 경우 의약품 건강보험 약가를 인하하는 `리베이트 약가인하 연동제'를 시행 중이다.
표면적으론 제약사가 이때부터 리베이트 관행을 없앴다고 하지만 일선 영업사원에 따르면 암암리에 리베이트 영업이 계속돼 왔다는 전언이다.
대전에서 4년째 제약 영업을 하고 있는 A씨는 “회사별로 리베이트 비용이 별도로 책정돼 있고 현금제공, 병원 내 가구 구입, 수금할 돈을 수금하지 않는 식 등의 방법으로 리베이트가 성행하고 있다”고 실태를 설명했다.
그러나 최근 이 같은 관행에 급제동이 걸렸다. 대전지방공정거래사무소가 자살한 모 제약회사 직원 유족 측이 제기한 50여 개 병의원 리베이트 의혹에 대해 본격 조사에 착수한 데 따른 후폭풍이다.
제약회사마다 영업사원에 리베이트와 관련해 철저히 입단속을 시키는가 하면 개인적으로 정리 중인 영업 장부 또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극도의 보안을 당부하고 나섰다.
뿐만 아니라 `소나기는 피해가자'라는 식으로 당분간 리베이트 영업 중단을 내부적으로 결정한 제약회사도 있다는 후문이다.
이처럼 제약업계가 몸 사리기에 돌입하면서 일선 영업사원들은 죽을 맛이다.
리베이트 제공 없이는 병원별로 사용하고 있던 기존 약을 빼내고 자사 약을 비집고 넣을 방법이 사실상 전무하기 때문이다. 자연스레 회사 측이 요구하는 목표량 달성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실직 위협까지 느끼는 영업사원도 부지기수다.
모 제약회사 영업사원 B씨는 “공정위가 대전지역 리베이트를 조사한다는 소식에 제약업계는 물론, 영업맨들도 크게 긴장하고 있다”며 “병의원 의사들도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의심을 받지 않기 위해 영업사원 접촉을 꺼리고 있어 영업이 더욱 어려운 상황”이라고 귀띔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