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 X'설도 있다.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10번째 행성이 있으며, 이 행성이 지구에 다가오면서 지구의 자전축이 바뀐다는 주장이다. `노스트라다무스의 그림예언', 히브리어 성경에 담긴 `바이블 코드', 주역도 2012년 종말을 예언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영화 `2012'는 이런 종말설에서 제목을 따왔음이 분명하다. 하지만 어떤 설도 끌어들이지 않는다. 지구의 지각변동을 짤막하게 언급할 뿐이다. 그리고는 곧바로 재난장면으로 돌입한다.
대규모 물량 공세로 몸집을 불린 영화는 입이 쩍 벌어지는 시각적 충격을 준다. 지진으로 대형 쇼핑센터가 둘로 갈라지는 장면은 시작에 불과하다. LA 도심 주차타워에서 자동차가 비처럼 쏟아지고, 고가도로가 주저 앉는다. 고층빌딩은 성냥갑처럼 무너져 내리고, 지진으로 초토화된 LA는 결국 태평양 아래로 가라앉는 비극적 장관이 이어진다.
지진과 화산폭발에서 쓰나미까지, 재난영화의 다양한 무기들이 총망라되어 끝도 없이 이어진다. 이 영화에서 내내 아슬아슬 전력 질주하는 자동차와 비행기는 절멸의 스펙터클을 현란하게 담아내려는 카메라의 다리 역할을 해낸다.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의 거대한 예수상이 쓰러지고, 해일에 하늘로 솟은 항공모함이 백악관 위로 떨어진다. 옐로스톤 국립공원은 화산지대로 변하고, 쓰나미는 에베레스트 턱밑까지 차오른다. 끝내 대륙의 형태까지 바뀐다.
`2012'의 문제는 절멸의 재난을 마주하며 고통을 받고 죽음에 이르는 인간들의 절절한 드라마가 빠져 있다는 점이다. 모든 재난영화의 핵심은 휴머니즘이다. 기본을 망각하고 있기에 영화는 짧은 순간 눈을 사로잡고 즐거움을 주지만, 그 때가 지나면 마냥 지루하다.
인간 드라마가 아주 없는 건 아니다. 두 자녀와 전처를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인공의 가족애가 뜨겁다. 최대한 많은 사람을 살리려는 과학자와 선택받은 자들이라도 구하려는 미국 정부 수뇌부의 갈등도 있다. 세계 정부가 꾸린 인류 생존팀에 들어가는 사람은 전 세계 60억 인구 중 40만 명뿐. 특히 10억 유로를 낼 수 있는 부자들에게 기회를 주는 대목은 현실적이지만 분노가 치솟는다.
이처럼 전 인류 중 일부만 선별해 살려야 하는 영화의 설정은 계급 갈등에서 정보 통제까지 다양한 문제들을 흥미롭게 다루는 실험의 장이 될 수도 있었다. 자녀와 떨어져 살아야 하는 주인공의 처지를 비롯해 결핍과 상처를 안고 있는 극중 인물들의 가족 관계는 그들 사이에서 운명이 엇갈리는 순간의 감정적 격랑을 몰고 올 수도 있었다.
그러나 영화는 스스로 제기한 문제조차 끝내 풀지 못한 채, “우리는 모두 대지의 형제”와 같은 번드르르한 말로 얼버무린다. 볼거리는 있지만 사람의 온기가 빠진 텅 빈 영화, 딱 롤랜드 에머리히 영화답다.
지구가 멸망할 땐 어떻게 해야 할까. “종말이 오면 어쩌죠?” 티베트의 승려가 스승에게 묻는다. 스승은 술잔을 채우며 말한다. “이 컵처럼 너는 생각으로 가득 차 있구나. 지혜를 얻으려면 네 컵을 비워야 한다.” 이내 그는 자동차 열쇠를 건네면서 이렇게 말한다. “클러치 살살 밟아.”
종말이 닥치면 살 길은 삼십육계 줄행랑밖에 없다는 충고다./안순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