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금강의 현재 그리고 미래, 바람직한 금강살리기 방향은?'이란 주제로 본보가 주최한 전문가 좌담회에서도 이 같은 문제가 금강살리기 사업의 최대 쟁점으로 부각됐다.
이날 좌담회에서 고은아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금강살리기 사업은 3개의 보를 설치하고, 준설을 통해 물 그릇을 키우겠다는게 핵심인데 보 설치 이유가 명확하지 않다”며 “4대강 사업 자체가 천편일률적으로 진행됨에 따른 결과로 운하의 전 단계라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허재영 대전대 교수도 “보를 설치하면 불가피하게 수질 악화가 예상되는데,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라면 관광효과 정도가 아닐까 한다”며 “특히 부여지역의 보 설치 예정지는 수려한 경관을 지닌 곳으로 보가 설치되면 오히려 이러한 경관이 사장돼 관광 효과 측면에서도 악영향이 우려되고, 설치 이유와 근거를 찾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허 교수는 이어 “연기 지역의 금남보가 선도사업에 포함된 만큼 불가피하다면 설치 후 1년 정도 수질과 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 한 뒤 다른 보의 설치를 결정해도 늦지 않을 것”이란 제안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장재덕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금강살리기사업팀장은 “보는 운하를 만들고 배를 띄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적절한 수량과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라며 “수질 악화에 대한 우려가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계획 자체의 변경은 어렵고,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수자원 전문가의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날 참석자들은 지천의 오염원과 유역 전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허 교수는 “금강에는 본류 외에도 무수한 지방하천과 소하천이 실핏줄처럼 퍼져 있다”며 “이 지류들이 수질 악화의 원인이 되는 만큼, 유역 전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데 금강 사업에 이런 관점이 빠져 있는 것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남광현 충남도 금강사업팀장은 “이미 충남도에서도 연간 2000억원 가량을 지류 하천 사업에 투입하고 있다”며 “본류에 관심이 집중되기 때문이지 본류 사업을 위해 지류에 대한 관리를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고 답했다.
김병익 금강유역환경청 환경평가과장도 “환경부에서도 이미 유역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오염원 관리와 하천생태계 복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참석자들은 1시간 30분가량 금강의 수질 및 생태계에 대한 진단과 함께 금강살리기 사업의 방향과 문제점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종섭 기자 noma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