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말', 소위 권력과 힘을 내세우는 협박이나 강압에 못 이겨 피해를 받는 이들이 늘어만 가고 있다.
어디에 제대로 된 하소연도 못 하는 서민들이 주 피해대상이라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더해진다.
최근 10일간 지역경찰이 발표한 검거자료를 보더라도 이런 범죄 유형은 쉽게 접할 수 있다.
27일 부여경찰서가 검거한 자신의 몸에 새겨진 용 문신을 보여주며 업주들을 상대로 상습적으로 협박, 10여회에 걸쳐 폭행을 가한 50대 남성이 그 중 하나다.
정치인 등 고위층과 친분을 과시하며 접근해 공사 하도급과 식당 운영권 명목으로 수천만원을 가로챈 60대 남성, 지방자치단체 로고 등이 새긴 홍보물 게시대를 보여줘 업체 광고를 해 주겠다는 명목으로 200여회에 걸쳐 수천만원을 빼돌린 50대 남성의 권력과시형 범죄도 이 기간에 지역 내에서 발생한 사건들이다.
지난 23일 당진경찰서가 술병과 식칼 등으로 옆구리를 찔러 상해를 가한 피의자 검거도 발단은 북한 국적의 딸을 중국 호적에 등재해 달라고 돈을 주었으나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는 이유, 즉 신분의 불안함을 이용했다는 것이 화근이었다.
이런 범죄가 독버섯처럼 음지에서 활성화되고 있다는 것은 올해 들어 유독 서민 곁으로를 외치는 공권력과 시민과의 괴리감이 여전히 존재한다고도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경찰청은 물론 지역경찰에선 경찰이 서민들의 가까이에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시책들을 내놓고 있다.
지방청 관계자는 “지역 경찰에선 일선서 홍보담당모니터요원(가칭), UCC나 사진 참여 프로젝트, 찾아가는 봉사활동 등 차별화되고 다양한 시책을 통해 시민들과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방통행 식이 아닌 소통에 방점이 찍혀야 한다는 데 있다.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박상규 교수는 “피해자들을 비롯한 서민들은 피해를 받아도 피의자들의 강압적인 말투나 행동으로 이를 밝히기 꺼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며 “이들이 안심하고 경찰에 신고하고 다가갈 수 있는 소통식 시책이 따라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경욱 기자 dearwg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