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경기침체시 적극적 재정활동이 불가피한 선택이긴 하지만 과도한 적자재정 운용은 국가채무 누적으로 이어져 적지 않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즉, 큰 폭의 재정적자가 구조화될 경우 적자 보전용 국채발행이 늘어나면서 민간소비 및 투자가 위축될 수 있고 재정건전성 악화로 국가채무의 지급능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도 있다.
1997년 이후 우리나라의 재정지출은 연평균 9.5%가 증가해 명목 GDP증가율 6.4%를 상회했다. 특히 올해 재정적자 규모는 GDP의 5% 수준인 51조원으로 외환위기시 25조원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국가채무도 2002년말 GDP의 19% 수준인 134조원에서 연말에는 GDP의 36%인 366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게다가 2010년 예산안을 감안하면 내년 국가채무는 GDP의 37%인 407조원에 이르게 된다. 물론 우리나라의 GDP대비 국가채무비율은 OECD국가평균인 80%이지만 EU의 재정건전화 권고기준인 60%에 못미쳐 아직까지는 건전한 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금리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실질적으로 재정부담이 크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재정적자가 만성화될 경우 국가신인도가 저하되고 국민의 조세부담이 늘어날 수 밖에 없다. 향후 우리나라는 고령화사회 진입에 따른 복지비 지출 증가 등으로 장기적인 추가 재정부담 요인이 있는 만큼 재정건전성 확보에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