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주관하는 이 사업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관통하는 금강의 본류 13㎞구간과 미호천 4.3㎞ 구간이 포함돼 있다. 이 사업으로 전체 17.9㎞구간에는 제방 축조 및 보강이 이뤄지며, 각각 30.3㎞의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가 만들어 진다. 또 사업 구간 안에는 4m 높이의 수중보와 소수력 발전 설치 계획도 포함돼 있다.
이러한 계획에 따르면 이 지역의 우수한 하천 생태는 어찌됐든 변화가 불가피하다. 국토관리청은 생태계 파괴를 최소하 하기 위해 사업 대상지역을 보전과 친수, 복원지구로 나눠 합강리 일대 야생동식물보호구역과 하중도, 강 독측 경계부 좌안은 보전지구로 지정해 인간의 간섭을 최소한한다는 계획이지만 환경단체는 전 구간에 이르는 하도정비와 전체적인 지형 변화 속에 악 영향을 피해갈 수 없다는 주장이다.
수중보 설치 문제와 관련해서도 국토관리청은 환경영향평가에 따른 수심변화 예측결과 수중보가 보전 및 복원구간인 합강리 지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미호천 합류지점을 기점으로 상·하류 0.5㎞정도에 이르는 철새들의 핵심 서식지 가운데 3분의 1 가량이 친수지구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또 그 이상 구간에 보로 인한 수위상승 등 직접적인 환경 변화가 예상돼 사실상 서식지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이와 함께 민주당과 운하백지화공동행동 등이 구성한 4대강 국민검증단은 현장 검증 활동을 통해 합강리 일대를 4대강 사업으로 사라질 13대 비경 가운데 하나로 꼽고 있다. 수중보 설치와 하도정비로 생태계의 단순화가 초래되고 철새도래지가 파괴됨과 동시에 경관적 우수성도 훼손될 것이란 주장이다.
대전충남녹색연합 박정현 사무처장은 “강 바닥을 준설하고 보를 만들어 배를 띄우고, 제방과 자전거도로를 만드는게 금강살리기의 핵심”이라며 “이는 곧 금강의 생태적 환경을 파괴하고, 지역의 미래 생태자원을 망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종섭 기자 noma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