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경찰 활동이 후속대책 없이 일회성 이벤트 성으로 진행되고 있어 보다 실질적인 서민 보호대책 마련을 주문하고 있다.
이동경찰서 운영은 지난 7일 강희락 경찰청장이 주재한 전국경찰지휘관 회의에서 서민보호와 민생치안에 올인하는 서민 소통을 강조한 이후 바람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대전 5개 일선서 중 지난 1일 이동경찰서를 실시한 동부경찰서를 제외하곤 둔산서, 중부서, 대덕서, 서부서 등 네 곳의 경찰서가 지난 7일 이후 이동경찰서를 열었으며 충남경찰도 비슷했다.
이동경찰서 주요 활동 내용은 경찰의 손이 잘 닿지 않는 범죄 우범지역과 복지 혜택을 잘 받지 못하는 곳을 찾아가 민원 상담 등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의료기관과 연계해 의료봉사까지 병행하며 주민 눈 높이를 맞춘다는 게 목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치안 사각지대에 대한 후속조치 없이 하루만의 행사로 전락하는 등 쇼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일선서에선 한 달에 한 번꼴로 이동경찰서를 실시한다고 하지만 다녀온 곳에 대한 후속조치는 미비하기 때문이다. 상부기관 등에 보여주기 위한 이벤트성 또는 실적을 내기 위한 `생색내기' 수단으로 이용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대전청의 한 간부는 “이동경찰서가 경찰 내부 실적에 관련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안 하는 것보다는 낫고 서민 곁에 있는 경찰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도 된다”고 말했다.
대전참여연대 금홍섭 사무처장은 “경찰 스스로의 쇄신 일환으로 보면 이런 행위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후속조치가 따라오지 않고 있다”며 “특히 대전경찰은 치안력 평가 등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부정적으로 나왔는데 이 부분을 극복하기 위한 좀 더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경욱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