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보 설치를 통해 풍부한 수량을 확보하면 수질이 개선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환경단체 등은 보 설치가 오히려 수질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물은 고이면 썩게 마련이라는 주장이다. 정부는 이에 대해 고정식 보가 아닌 가동보를 설치해 주기적으로 물을 흐르게 하면 수질 악화 요인을 차단할 수 있다고 맞서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가동보 역시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것이라고 문제를 지적한다. 대전대 토목공학과 허재영 교수는 “가동보는 이론적으로는 타당해 보이지만 실제 적용 시 사정은 달라질 수 있다”며 “부분적인 형태의 가동보는 실제 하천에 설치할 경우 토사와 이물질 등으로 인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한다.
그는 또 정부가 주장하는 용수확보 문제 역시 명확한 근거를 갖지 못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필요 수량의 산출 근거가 불분명하고, 실제 금강유역의 물부족 문제는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환경단체는 정부가 생태계 단절이나 체류시간 증가 및 유속 감소 등에 대한 영향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은 채 보 설치를 추진하고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한다.
특히 금강에 설치될 3개의 보 가운데 공주 지역에 설치되는 금강보의 경우 설치 예정지로부터 500여m 정도 위쪽에 지난해 공주시가 20여억원을 들여 설치한 3m 높이의 하상보호공보가 자리하고 있는 점을 단적인 예로 꼬집는다.
금강운하백지화국민행동 관계자는 “이미 백제큰다리 아래 설치된 보 만으로도 정부가 주장하는 보 설치 목적은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종섭 기자 noma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