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시민은 물론 해당 병원과 약국에서도 불만을 표출하고 있고, 폭발적인 수요요청으로 인한 항바이러스제의 공급과 수요 불균형, 전문의·의료기관 부족 등 거점병원·약국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대전시·충남도 등에 따르면 거점병원은 대전에 충남대병원 등 8곳, 충남엔 천안의료원 등 25곳이 지정됐다. 약국은 대전 5곳, 충남 30곳 등 대전·충남 지역의 35곳이 거점약국으로 지정, 발표됐다.
하지만 치료 거점병원과 약국이 제 기능을 다할 지 실효성이 의심되고 있다. 거점 병원·약국 등에 따르면 대전의 A 병원은 이번에 거점병원으로 지정됐지만, 호흡기 내과 전문의가 1명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충남의 경우 30곳의 격리 병상을 보유, 도내 25곳의 거점병원 중 세 번째로 많은 격리 병상을 보유하고 있는 B 병원은 정작 내과와 소아과 전문의가 한 명도 없다. 이들 병원뿐만 아니라 지역 내 대부분의 거점병원 전문의가 한자릿수를 맴돌고 있다.
충남의 C 병원은 비축된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의 양이 30인을 소화할 수 있는 것에 그치는 등 치료제 보급 양도 턱없이 부족하다.
이 병원 관계자는 “거점병원에 맞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거점병원으로 지정된 병원에서조차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을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충남은 지자체에서 발표한 병원 문의번호도 맞지 않아 시민들이 골탕을 먹었다.
약국 역시 사정도 매한가지다.
거점병원으로 지정된 대전의 E 약국은 “50인분의 타미플루를 받았지만 하루에 12명의 타미플루가 소진되는 등 턱없이 부족한 양”이라고 현 상황을 설명했다.
또 다른 지역의 F 약국 관계자는 “우리 지역엔 거점약국이 이곳밖에 없다”며 “약을 받고자 약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신종플루가 전염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일부 약국에선 거점약국을 발표한 것에도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거점약국 사실이 공개돼 일반 이용자들이 약국 방문을 꺼릴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민들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민간 의료기관 등 대부분 의료기관에서 신종플루 치료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정부에서 발표한 거점병원과 약국마저 문제점이 속속 노출되기 때문이다.
대한의사협회는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치료 거점병원은 격리공간 등에서 치료 준비가 미흡한 상태고, 몇 안 되는 거점 약국에선 약을 받기 위해 환자가 이동하다 타인에게 전염될 우려가 있다”며 “타미플루 등 치료제를 환자 접근성이 높은 1차 의료기관까지 공급해 직접 투약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경욱 기자 dearwg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