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충청인의 넉넉한 품을 닮은 비단 물길이 굽이쳐 흐르고, 분지와 평야가 발달한 금강 중·하류는 예로부터 자연히 사람과 물자가 모이는 곳이었다. 그 물길을 따라 우리 역사의 사상과 문화가 깃든 것도 당연하다.
이 때문에 공주와 부여를 중심으로 한 금강 일대에는 백제의 역사문화유적 뿐 아니라 선사시대의 유적을 비롯해 인류의 삶의 궤적을 보여주는 다양한 문화 유산들이 분포해 있다.
▲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금제관식 |
가장 먼저 금강 유역이 예부터 인류에 최적의 삶의 터전을 제공해 왔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선사시대 유적이 공주의 석장리 유적과 부여의 송국리 유적이다. 공주시 장기면 장암리 금강의 북안에 위치한 석장리 유적은 1964년 발굴 조사가 시작된 국내의 대표적 구석기 시대 유적이다. 이곳에서 발굴된 구석기 유물들은 선사시대 인류의 생활상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며, 구석기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1975년부터 진행된 발굴조사에서 부여군 초촌면 송국리 일대에서는 민무늬 토기시대 움집터가 발굴됐는데, 이는 청동기 문화의 양대 중심지 중 하나였던 금강유역의 역사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고 있는 곳이다. 부여 송국리 유적은 국내에서도 최대의 청동기시대 유적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이와 함께 금강 유역에서는 번성했던 역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수많은 고분군이 발굴 또는 매장돼 있을 뿐 아니라 역사를 따라 융성했던 불교와 유교 문화가 꽃 피웠던 곳이기도 하다.
공주와 부여, 익산 지역을 중심으로 백제 이후 창건된 대규모의 사찰이 분포해 있으며, 논산 등지에는 금강 유역을 중심으로 펼쳐졌던 유교문화의 발달을 보여주는 향교와 서원 등이 다수 자리하고 있다.
금강의 물줄기를 조망하며 늘어서 있던 정자와 누각 등도 전통사회 사족(士族)들의 문화와 향촌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남아 있다.
금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러한 역사와 문화의 흔적은 오늘날 우리에게 귀중한 문화 유산인 동시에 소중한 관광자원이기도 하다. /이종섭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