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해외인턴십현황과 지역대 실태=지난 2005년부터 정부는 전문대학생들의 취업률 향상을 위해 1인당 최고 900만원까지 지원하는 해외인턴십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해외인턴십은 학생들이 외국의 실무 현장에 나가 업무를 체험하고 장기적으로는 해외 취업으로 연계시키는 취지로 시작된 국비 사업. 하지만 지금까지 해외취업 실적을 내거나 양질의 취업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극소수에 불과하다.
실제 대전보건대학은 올해 22명의 학생들이 해외인턴십에 참여했다. 지금까지 4년여 기간동안 한해 20여명 안팎의 학생들이 해외인턴십을 다녀왔지만 해외취업에 성공한 사례는 한차례도 없다.
대덕대학은 지난해 28명, 올해 34명 등 전국에서 4번째로 많은 학생을 해외인턴십에 참여시키고 있지만, 지금껏 해외취업 실적은 전무하다.
혜천대는 올해 13명이 참여하며, 지난해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8명 가운데 5명이 일본 호텔에 취업했고, 10명이 인턴십에 참여한 우송 정보대도 지난해 1명이 외국 호텔에 취업하는 성과에 그쳤다.
통상 국내에서는 인턴십으로 기업체에 참여하면 소액 급여를 받고 있지만, 해외인턴십의 경우 사정이 다르다. 육체노동이 포함돼 있는 호텔관광계열을 제외하고는 급여는 커녕 오히려 프로그램 참여 비용을 업체나 학교측에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건계열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국내 학교의 보건학과의 학점이나 실력 인정을 하지 않아 병원 등 실무 업체 체험이 불가능 한 것. 이에 기업체가 아닌 외국 보건계 대학생 실습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인가=해외인턴십 프로그램은 정부지원 프로그램이지만 해외 인턴 참여 기업체 발굴은 학교에 맡기고 있다. 학교가 알아서 인턴십 참여 기업체도 발굴하고 취업연계도 해야 하는 것.
하지만 해외 정보가 부족하고 기업체 발굴이 어려운 지방전문대학의 경우 해외 기업체 발굴이 부실할 수 밖에 없다. 해외 파견 국가에 정부 차원의 기업체 연계나 정보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국내 대학간에도 해외 기업체 정보가 공유되지 않고있어 시행착오를 겪는 대학의 경우 비용낭비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
학생들 비자 자체도 취업 비자나 산업 연수 비자가 아닌 어학연수 비자로 나가고 있어, 당초부터 취업 연계와는 거리가 멀어질 수 밖에 없다.
지역 전문대 관계자는 “정부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해외 기업체를 발굴하지 않는한 지역의 작은 전문대학에서 양질의 해외인턴십 기업체를 직접 발굴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프로그램의 명칭을 변경하든지 개선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