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적·호적 회복 등이 이슈가 되면서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그 이전엔 단재 선생이 지역 출신임을 알지 못하는 이들이 대부분이었다. 더욱이 국적과 호적을 회복한 올해에도 생가지는 이전과 별반 다를 게 없었다.
▲ 단재 선생 생가지 옆 정자엔 언제 먹었는지 모른 맥주와 소주병이 뒹굴고 있다. |
생가 옆 정자에 헝클어져 있는 소주병과 맥주병이 그것을 보여줬고, 생가지 안방에서 굴러다니고 있는 죽은 벌레의 사체, 관리소 뒤편에 방치된 허름한 냉장고가 그러했다.
생가지를 둘러보기 한 시간 여 만에 관람객이 처음으로 왔다.
“휴가 중에 지나가다 들렀다”는 그 관람객은 온 지 10분도 안 돼 자리를 떴다. “볼 것이 없네요”라는 말만 남기고.
이보다 더 처참한 광경은 동구 홍도동의 심산(心山) 김태원 지사 생가에서 드러났다.
심산 선생이 태어난 이곳의 공식 명칭은 독립지사 김태원 생가 유허(遺墟). 유허는 오랜 세월에 쓸쓸하게 남아 있는 옛터라는 의미.
▲ 심산선생유허엔 거미줄과 무성한 풀만이 현 상황을 설명해주고 있다. |
비(碑)와 안내판 하나만이 덩그러니 있는 생가엔 폐허와 거미줄이 이 곳의 현 상황을 설명해줄 뿐이었다. 심산 선생은 1919년 3·1운동을 시작, 일본 경찰주재소를 습격해 일본 경찰 4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자금 모금과 일본 경찰 및 밀정 사살 등의 임무를 띠는 등 상해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해방 후엔 김구 선생과 같이 귀국, 김구 선생이 이끄는 한국독립당 조직부장을 맡는 등 건국사업에 이바지한 지역이 배출할 걸출한 독립지사다. 대덕구 중리동엔 심산 김태원 선생 어록비가 세워져 있지만 이곳과 생가지의 연계성은 찾아볼 수도 없었다.
두 곳다 표지판이 부착돼 있지 않아 찾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대전문화연대 안여종 운영위원은 “문화재에 불이 나는 등 큰 사건, 사고가 터져야 관심을 갖는 우리 사회가 이 같은 문화재 등한시 현상을 가져오는 근본적인 이유”라며 “민간단체, 시민, 언론 등이 관심을 갖고 연구도 하며 세미나를 갖는 등의 노력과 함께 지자체의 관심이 따라와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경욱 기자 dearwg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