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A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전공의를 수년째 받지 못해 진료 뿐만 아니라 연구(페이퍼 워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학병원 교수 하면, 주요 수술과 외래 선택 진료(일명 특진), 학회에 보고할 연구 논문을 제출하는 것이 주된 일이었다. 그러나 전공의(레지던트)들의 산부인과 지원 기피 현상이 심화되면서 이 같은 일은 꿈도 꾸지 못하고 있다.
전공의들은 야간 당직을 교대로 서며, 응급환자들이 병원에 닥쳤을 때 그것도 어렵게 `교수님'에게 전화를 해 환자 진료법을 물었던 게 병원 문화였다. 이런 모습은 영화 속의 한 장면이 돼 버렸다.
이 병원 산부인과 전공의는 4년차 단 1명 밖에 없다. 3년간 전공의 지원이 없다 보니 1, 2, 3년차는 아예 없고 이번에 4년차가 나가면, 전공의 없는 진료과목이 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전공의들이 주로 맡았던 입원 환자들의 주치의 개념이 사라짐에 따라 세세한 환자 건강 관리가 미흡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산부인과 전문의가 향후 수년이 지나면 배출이 되지 않게 돼 해당 병원들은 인력 수급의 길이 막히게 될 위기에 놓이게 된다는게 산부인과 교수들의 걱정이다.
교수들이 갖고 있던 수술 노하우를 이어 받을 전공의가 없다 보니, 의료 질도 크게 떨어질 우려가 높다.
B병원의 한 교수는 “외래 진료와 수술은 교수들이 서로 영역을 나누고 전문간호사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정작 문제는 연구 작업에 막대한 차질이 빚어진다”고 하소연 했다.
C병원의 한 교수는 “저 출산과 왜곡된 건강보험 적용 때문에 산부인과를 비롯해 소아과, 흉부외과, 외과를 지원하는 전공의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큰 문제”라며 “정부 차원의 획기적인 의료인 수급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