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대전시 약사회와 개국가에 따르면 약사면허를 소지한 전국의 약사는 6 만여 명이며, 이 가운데 2만1000여명은 개업 및 공직에 근무하고 1만여명은 생산업체에 재직중이다.
개업가나 종합병원에 봉직하고 있는 일명 관리 약사는 5000여명 정도.
전체 약사의 30% 정도인 나머지 2만4000여명은 장롱면허 소지자로 추정되고 있다.
대전시 약사회에 등록된 약국은 680여 개. 몇년째 변화가 없다. 약사는 매년 배출되고 있지만, 장롱면허 소지자도 그 만큼 늘어 인력 수급에 큰 보탬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약사회 측의 설명이다.
홍종오 대전시 약사회장은 “의약 분업이후 클리닉 건물이나 종합병원 인근에 있는 문전약국 자리를 확보하지 못하면 개업이 힘들기 때문에 장농 면허수가 점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대전지역 약국 폐업수는 지난해 84개, 올해는 7월말 현재 52개다.
신규 약국수도 폐업 약국수와 엇비슷한 2008년 85개, 2009년 47개로 각각 나타났다.
신규 약사가 나와도 장롱면허도 그 만큼 늘어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약사 구인난은 대학병원ㆍ종합병원 뿐만 아니라 개국가에서도 심각하다.
종합병원 급 이상은 약사들이 주야간 교대 근무를 해야 되기 때문에 약사 구하기가 더 힘들다.
여자 약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어 이들은 자녀들의 양육 문제를 이유로 이직이 심하다는 게 한 대학병원 관계자의 전언이다.
처방전이 많이 나오는 개국가의 어려움도 마찬가지다. 80개의 처방전 마다 약사 1명을 채용해야 하나, 약사들의 이직이 심해 이를 맞추기가 쉽지 않다.
서구 탄방동의 A 약국이 대표적이다. 많게는 처방전이 1000여개 가량이 나와 약사를 10명 이상 상시적으로 채용해야 하나, 약사들의 이직이 심해 약사 관리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약사 구하기가 힘든 이유는 장롱면허가 많다는 점 때문이다.
장롱면허 대부분은 주부들 인것으로 추정된다. 생활이 안정돼 자녀들을 키우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약 조제에 손을 놓은지 오래돼 막상 현업에 복귀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크다.
급여도 장롱면허를 양산하는 이유로 꼽히고 있다.
초봉이 300만원 선을 웃도나, 약사들의 급여체계가 장기 근속을 한다고 해도 잘 오르지 않아 `중도 하차'하는 경우가 잦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개업 약사는 “정부가 약사 수급을 위해 약대 증원을 늘리기로 했으나 다른 제도적 보완이 없으면 괜히 장롱면허만 양산시키는 결과만 초래할 수 있다”며 “일반 의약품을 외국 처럼 슈퍼나 편의점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