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 프로그램으로 가장 먼저 시민경찰 아카데미를 창설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지역 치안 중요성 등 경찰활동과 관련한 내용을 시민들에게 전달했고 그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적극 수용하면서 지역 치안 해법을 찾아갔다. 워터타운 경찰서는 또 차량 순찰에서 자전거 순찰 병행으로 순찰방식을 전환, 대민 접촉을 늘려갔다. 경찰서가 주관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농구 리그까지 운영하면서 지역 주민과 스킨십을 늘려갔다. 이는 미국 내에서도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워터타운의 커뮤니티 폴리싱 사례다.
커뮤니티 폴리싱은 선진국에서 보편화된 제도로 범죄를 비롯한 다양한 지역사회 문제를 경찰과 주민들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나가는 시스템을 말한다.
대전지역이 치안 일류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해법도 여기서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각 지역에 구성돼 있는 경찰협력단체인 자율방범대, 녹색 어머니 회 등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이들을 동네 치안의 첨병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박종준 충남지방경찰청장이 이 시책을 충남지역 경찰과 민관단체에 접목시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전경찰과 대전시도 `박 청장의 실험'을 벤치마킹하는 자세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실험은 충남지역보다 오히려 광역시인 대전이 더 적합하다는 게 학자들의 전언이다.
이런 차원에서 대전경찰과 대전시도 정례적으로 진행하는 회의 수준의 치안협의회를 뛰어넘어 주민 밀착 치안 프로그램 개발 쪽에 중심을 둬야 한다.
조신형 대전시의회 의원은 “도심 곳곳에 방치되고 있는 치안센터(옛 파출소)를 민생 치안을 위한 아이디어 뱅크로 활용하는 것도 시도해 볼만하다”고 제안했다.
커뮤니티 폴리싱 개념 도입과 함께 대전경찰이 직면해 있는 각종 현안사업의 성패도 치안 일류 도시로 가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다.
치안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유성지역을 담당하는 유성경찰서 신설, 담당구역과 경찰서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동부서 이전 등이 이에 해당한다. 들쭉날쭉한 치안수요에 맞춰 경찰인력 재조정도 치안서비스 향상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주락 한남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선진국과 비교하면 전체 예산 대비 경찰 투입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경찰에 투입되는 예산을 늘려 인력확충, 첨단 장비 도입 등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치안 인프라 구축. 치안 인프라 구축이 바로 `창조도시 대전'과 `SEC 대전(안전하고 품격높고, 청정한 도시)'을 앞당기는 지름길이라는 점을 대전시와 대전 경찰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때다.<끝>/오주영·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