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씨는 운동과 기름값 절약을 할 수 있다는 생각에 며칠 전 자전거로 출ㆍ퇴근을 결심했지만, 보관문제에 가로막히고 말았다.
아파트 자전거 보관대가 한 동에 겨우 10여대 뿐이고 가림막이 있다지만 비바람이 몰아치는 날에는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김씨는 비싼 돈을 지불하고 산 자전거를 야외 보관대에 둘 수 없어 문밖이나 계단 난간에 보관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좁은 엘리베이터에 자전거를 싣고 내려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한둘이 아니다.
김 씨는 “고가의 자전거를 외부 보관대에 두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라며 “요즘 같은 장마철엔 자전거 보관하기가 더 어려워 자동차처럼 주차장이 있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중학생 아들이 있는 주부 이 모(50ㆍ동구)씨의 집에는 자전거 보관대가 한 곳도 없다. 지은 지 15년이 넘어 자전거 보관대를 마련하지 못했다.
아들이 예전에는 자전거를 좋아했었지만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 불편한 점이 많아 꺼리게 됐다.
자전거를 가지고 엘리베이터에 타려면 사람들의 눈치를 봐야 하거나 기다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전지역 아파트 자전거 보관대가 협소하거나 아예 없는 곳도 허다해 시민들이 자전거를 이용하는데 불편이 큰 실정이다.
대전시민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이륜차인 자전거도 자동차처럼 전용주차장 설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건축심의 규정을 새로 마련, 다음 달부터 새로 짓는 공동주택은 전체 주차면적의 5%와 일반건물은 2% 이상 자전거 주차장을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하고 있다.
대전시는 시민공용자전거 ‘타슈’의 무인대여시스템의 도입으로 타 도시보다 자전거 도시로써 한발 앞서고 있다는 평가다.
대전시가 앞으로 공용자전거 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의 자전거 인프라 확보에도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현재 아파트의 건축심의를 할 때 세대의 자전거 수요량을 파악해 보관대 설치를 적용하고 있지만, 도난 등 문제가 있다”며 “서울시처럼 자전거 주차장을 의무화하는 방안과 지하주차장에 주차장을 확보하도록 건축심의 운영기준 개정 여부 등을 검토 하겠다”라고 말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