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전당에 따르면 현재 전당의 직원은 정규직 10명과 전임계약직 36명 등 모두 46명으로 관장을 비롯한 대부분의 직원이 전임계약직 ‘가’급에서 ‘마’급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은 계약조건 상 최대 5년까지 해당 직급의 임기를 보장받을 수 있지만, 입사 초기 1년이 지난 시점과 이후 2년마다 내부적인 연장절차를 밟고 있다.
다시 말해 적어도 2년에 한 번은 연장여부를 고민해야 하고 아무리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더라도 5년이 지나면 공채 시험에 재 응시해야 하는 시한부의 입장이다.
때문에 이들은 공연예술 발전을 위한 헌신이나 전문성보다는 근무평가 등 내부적인 ‘평가’나 ‘성과’에 치중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업무의 효율성과 전문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조직체계 개선의 필요성을 호소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계약직의 조건을 알고 지원한 만큼 (처우에 대해) 할 말이 없다”는 입장도 있지만 상당수 직원들은 불안한 고용상태가 실제 업무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한 직원은 “공연장의 특성 상 업무의 연속성이나 효율성만 담보돼도 경험과 노하우를 통한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다”며 “3~4년이 지나면 왕성한 활동을 해야 할 시기인데 고용안정에 대한 걱정을 해야 하는 것은 공연예술계 입장에서도 큰 손실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직원은 “내부에서는 전국적인 추세처럼 전당도 재단법인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 중론”며 “전문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고용안정이 보장돼야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문화재단 설립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문화재단 직원의 고용조건에 관심을 갖는 직원들도 눈에 띠고 있다. 극소수에 불과하지만 현재 고용상태에 변화가 없다면 상대적으로 안정된 곳을 찾겠다는 의지로 풀이되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당초 전당 직원 대부분을 계약직으로 한 것은 긴장된 상황 속에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등 노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며 “법인화 문제는 전국적으로 효용성이 있고 타당성이 있다면 검토할 수 있는 문제지만 현재 문화재단이 설립되지도 않은 상황인 만큼 연계해서 고려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강순욱 기자 ksw@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