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지역 초기성장기에 있는 벤처기업수가 상당한 수준인데도 불구, 실제 이들에 대한 기업육성 정책 등은 미비한 실정이다. 은행권 자금조달의 경우, 창업후 7년 초과 기업이 76.9%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초기성장기 기업은 겨우 7.8%에 그치는 수준이다.
창업기 업체들 역시 초기성장기 기업의 2배에 가까운 15.3%의 자금이 조달받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은행권의 신용대출과 담보대출 역시 모두 7년 초과 기업에게로 편중돼 중기 벤처기업들에게는 ‘그림의 떡’이 되고 있다. 실제로 신용ㆍ담보대출의 경우 3년 이하 15.3%, 3~7년 7.8%, 7년초과 76.9% 등으로 초기성장기 기업들에 대한 자금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 않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책자금 역시 3년 이하 7.3%, 3~7년 16.2%, 7년 초과 76.5%로 자금이 절실한 기업에 대해서는 제때 자금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이다.
김성필(55ㆍ벤처업체 대표)씨는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서 3~7년에 해당하는 중기단계는 ‘죽음의 계곡(데스 벨리)’과 같이 성장이 둔화되는 시기”라며 “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자금 공급이 이뤄져야 하는 데 그렇지 못해 7년을 초과하는 장수벤처기업이 많지가 않다”고 말했다.
육근만 한국은행 대전ㆍ충남본부장은 “은행대출 등에서 업체능력에 따른 선별 지원 방식을 비롯해 중기 벤처기업 지원 전용펀드 조성, 전환사채 등을 자기자본으로 인정하는 방안 등을 세워야 할 것”이라며 “조만간 대전ㆍ충남본부에서도 금융권의 대출 규모에 비례하는 자금 공급책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경태 기자79ykt@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