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다가 신용보증을 통한 대출 역시 소극적이어서 저신용자 상당수가 사금융을 이용할 수밖에 없어 저신용 금융소외계층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부터 시중은행들을 주축으로 한 저신용자 전용 대출상품 판매를 추진했다. 이미 지난 1월 금융회사와 공동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저신용자 전용 대출상품을 개발토록 촉구했다.
그러나 지난달까지 저신용자 전용 대출상품 실적은 초라하기만 하다.
농협과 하나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시중은행들은 저신용 금융소외자들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는 실정. 실제로 농협과 하나은행은 전국적으로 9257명(396억원)과 4180명(549억원)에게 대출을 해 준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국민은행(977명, 47억원)과 우리은행(359명, 26억원), 신한은행(82명, 5억원) 등 나머지 시중은행들의 저신용자 대출실적은 부진한 상태다.
게다가 신용보증재단중앙회가 농협을 비롯해 새마을금고, 신협 등 3개 금융사와 함께 실시중인 금융소외 자영업자 특례보증은 대출자금 규모면에서 부족하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점포가 있더라도 500만원 이하의 대출만 가능해 서민들의 자금 갈증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김강수(45ㆍ충남 아산시)씨는 “아직도 최저 신용자들에 대한 시중은행들의 거부감을 느낄 수가 있었다”며 “신용이 좋지 않아 돈을 구할 수 없는 사람에 대한 규제가 아직까지는 엄하게 적용되고 있어 급한 자금이 필요한 서민들로서는 고리대부업체에 손을 벌릴 수 밖에 없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금감원 관계자는 “농협의 경우 저신용자 대출상품 실적을 자체 종합업적평가 전략사업에서 가점으로 적용하는 등 적극적인 금융소외계층 구하기에 나서고 있다”며 “금융소외자들에게 대출 혜택이 최대한 미칠 수 있도록 은행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경태 기자79ykt@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