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서구 장안동 최 모씨는 지난해 9월 보조금 1억3000만원과 자부담 9000여만원 등 모두 2억2000여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장태산 이근에 새싹채소 생산공정 시스템을 구축했다.
대전시 농업기술센터의 지원으로 이뤄진 새싹 시범사업은 FTA 등 농산물 수입 개방에 대응한 기능성 농산물 개발 및 생상공정시스템을 구축해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을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됐다.
최 씨는 전남 담양군생태농업지원센터와 경기도내 생산농가 등을 방문하는 사전교육과 원예연구소의 경영컨설팅으 사전교육을 마치고 생산기반시설을 구축한 후 지난해 연말부터 본격적으로 웰빙 새싹채소를 생산했는데 판로를 마련하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다.
최 씨는 “대당 2000만원의 새싹 재배시설을 설치만 하고 판로가 없어 3개월째 기계를 놀리고 있는 실정”이라며 “다른 제품과 비교해 보면 포장 부분에서 뒤떨어져 소비자들이게 외면하는 것 같다”고 하소연 했다.
▲ 판로가 없어 매일같이 쌓이는 콩나물과 새싹채소 |
최 씨가 새싹을 재배하기 위해 사오는 씨앗값만도 월 200만원으로 인건비와 운영비 등을 합치면 매월 200만원 이상의 적자가 생긴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행 규정상 농업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은 시범사업에 대해서는 5년간 의무적으로 시범운영해야하기 때문에 최 씨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실정이다.
대전시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시법사업으로 선정된 농가는 보조금이 지원됐기 때문에 5년간 추가 지원을 해줄 수 없는 상태다”며 “1~2년 정도 지켜보고 추후에 학교 급식이나 농협 공판장 등 다방면의 판로를 알아볼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두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