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A 사업지에서는 당장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수억원의 자금순환이 원활치 않아 분양일정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A사업지는 올해 분양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해 왔지만 사업 진척이 늦어져 시간이 지나갈수록 답답한 마음뿐이다.
대전의 B 사업지도 국내에서 내노라하는 대형건설사가 시공을 맡고 있다. 대형건설사가 시공을 맡고 있더라도 은행권에서는 문을 닫아버린 상황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은행권에서 PF 대출에 대한 심사가 강화돼 쉽게 돈을 구하기 어려운 처지다.
C사업지도 이주자 철거를 대부분 진행했지만 법원에 공탁금으로 걸어야 100억여원의 금액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사업 마무리 단계에 와서 마지막 단계를 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지역의 대부분 재개발ㆍ재건축 사업지가 돈 문제로 속을 태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문제로 애를 태우는 것은 사업을 진행하는 조합뿐만 아니라 공사를 맡은 시공사도 비슷한 처지다.
시공사 입장에서는 막상 수주를 했지만 경기불안, 불확실한 사업성 등으로 고민할 수밖에 없다. 은행에서도 회사이름보다는 사업지구를 보고 대출을 해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방사업장은 상대적으로 수도권보다 힘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 대전지역은 정비사업 예정지 202개소 가운데 94개소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업계에서도 너무 많은 곳에서 사업이 진행되다 보니 이를 채워줄 수 있는 수요층이 불확실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대전에는 도안신도시, 학하지구 등 주택공급물량이 넘쳐나고 있다”며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재개발ㆍ재건축 사업의 불확실한 수요로 은행권에서도 쉽게 문을 열지는 못하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그는 또 “모든 사업지에서 사업이 진행되기도 힘들며 멈추는 현장도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성수 기자 joseongsu@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