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경찰 전체 정원 대비 총경 이상 고위직 간부의 비율이다.
2009년 총경 승진자 발표에 따라 후보자들의 희비가 엇갈린 가운데 ‘총경=좁은 문’ 공식이 경찰 안팎에서 재차 회자되고 있다.
워낙 머릿수가 적은데다 자신의 능력만 갖고는 총경 계급장을 손에 쥘 수 없기 때문이다. 17일 경찰청에 따르면 전ㆍ의경을 제외한 우리나라 경찰 공무원은 모두 9만 7448명이다. 이 가운데 일선 경찰서장, 지방청 참모 격인 총경 정원은 461명.
치안총감 1명, 치안정감 4명, 치안감 26명, 경무관 34명을 합해 총경 이상 고위 간부의 비율은 고작 0.539%밖에 되지 않는다. 0.5%의 좁은 문을 뚫기 위해 경정 이상 간부들은 매년 눈물겨운 노력을 한다.
실제 대전 및 충남경찰청에서도 이번 인사를 앞두고 정치권에 로비를 했다는 식의 루머가 꼬리를 물었다. 이처럼 줄을 대는 이유는 하위직 인사와는 판이한 총경 인사 시스템 때문이다.
경정까지는 당사자가 능력만 있다면 시험을 봐서 올라가는 길이 열려 있지만 총경 승진 인사는 능력보다 청와대와 경찰 수뇌부 심사가 더욱 중요시된다.
이 과정에서 후보자들은 인맥, 지연, 학연, 정보력 등을 총동원, 승진 로비에 사활을 걸기 일쑤다. 특히 경정 10년 차 이상 40대 중후반 인사들은 승진을 못 하면 계급정년(14년)에 걸려 조만간 ‘옷’을 벗어야 하기 때문에 이는 곧 생존의 문제이다.
로비 과정에서 출혈이 큰 만큼 승진에서 탈락하면 그 후유증도 만만치 않다. 16일 승진 후보자로 낙점된 대전청 1명, 충남청 2명을 제외한 탈락자 10여 명은 인사 발표 직후부터 일손을 잡지 못하고 공황 상태에 빠졌다.
일부는 탈락 충격으로 휴가까지 냈다. 일각에서는 매년 되풀이되는 총경 승진 인사 부작용 해소를 위해서 공정성과 투명성을 한 층 강화한 인사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경찰 관계자는 “외부의 힘을 빌리지 않고 소신 있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해 온 사람이 공정한 평가를 거쳐 총경이 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도록 수뇌부가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