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신도심과 유성구를 담당하는 둔산서의 업무 과부하는 수사의 집중성을 떨어트리거나 적재적소에 투입될 인력 배치 어려움이 내재해 있다.
지난해 국감에서 발표된 대전지역 112 순찰차 5분 이내 현장 도착률 전국 최하위라는 성적표도 이런 광범위한 담당 구역에서 기인한 면이 크다.
최근 태평동 실종주부 시신이 발견됐을 때도 담당부서는 중부서였지만 발견지가 유성의 방동저수지였기에 거리상으로는 먼 둔산서도 나설 수밖에 없었다.
이런 한계 속에 여러 기관이 자구책으로 범죄에 대비하고 있지만 경찰서의 존재만큼 위력을 발휘할 순 없다.
유성구에 소재한 충남대는 인근야산 등에서 범죄가 늘어나고 있어 자체적으로 CCTV설치 등의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학교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인구 30만을 바라보는 유성에 경찰서가 있느냐 없느냐의 상징성과 존재 의미는 매우 큰 것이다.
현재 유성구까지 담당하고 있는 둔산서의 경찰관 1인당 담당인구를 보더라도 중부서의 545.1명과 비교, 77.5%가 높은 967.8명에 달한다.
둔산서는 분서기준인 50만명에 육박함에 따라 유성경찰서 신설을 추진할 근거도 마련돼 있다.
유성구청도 본보의 보도 이후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여론 수렴작업을 펼치는 한편 유성구 관내에 유성경찰서 신설의 당위성을 알리는 프랭카드를 내거는 등
유성경찰서 신설 문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대전 충청 미래포럼 신천식 간사(대전대 객원고수)는 “행정기구를 늘리는 다고 해서 행정 서비스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지만 지자체의 출범이후 기초단체와 경찰서간의 관할 구역이 달라 효율적인 대민 행정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도안지구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는 시점에 맞춰 유성 경찰서 신설 문제를 매듭져야 한다”고 강조했다./김경욱 기자 dearwg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