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김구 유적지' 따로 있었다

진짜 '김구 유적지' 따로 있었다

[특별취재]임정90주년 <승리의 역사를 가다>

  • 승인 2009-11-26 10:07
  • 신문게재 2009-02-27 1면
  • 우한ㆍ창사ㆍ치장=맹창호 기자우한ㆍ창사ㆍ치장=맹창호 기자
중국 내 항일운동 유적지 일부가 엉뚱한 곳으로 조사됐다는 문제제기가 끊이질 않아 철저한 고증이 요구된다. 이는 조사과정에서 생존 독립운동가의 증언과 현지주민의 확인을 통해서 손쉽게 드러날 사실조차도 제대로 실증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으로 중대한 역사적 오류가 빚었질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보는 대한민국임시정부(임정)수립 90주년을 맞아 김구재단(이사장 김호연)과 공동으로 상하이(上海) 등 중국내 21개 도시에 산재된 항일유적에 대한 조사를 벌여 이같은 주장이 사실임을 확인했다. 관련기사는‘임정 승리의 길을 가다’란 제목으로 다음달 6일부터 매주 1회씩 17회 연속 보도된다.

조사 결과 일부 엉뚱한 자리가 항일유적으로 소개되거나 문제제기된 유적에 대해서도 재조사가 제대로 진행되질 않고 있었다. 일부 조사보고서는 오ㆍ탈자와 주요위치도 틀린 허술한 약도로 일반인은 사용자체가 어려운 형편이었다.

본보 조사에서 드러난 조사오류지는 우한(武漢)시 조선민족전선연맹. 우한시 성리지에(勝利街) 15호 조선민족전선연맹에 대해 현지 주민들은“한국정부가 위치조사를 잘못돼 23호를 엉뚱하게 15호로 소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성리지에는 거리를 따라 한편은 홀수지번이, 반대편에는 짝수지번이 순서대로 늘어서 이전 조사에서 15호로 조사한 자리는 현재 23호 지번 패찰을 부착하고 있었다.

반면 인근 창고건물은 지번이 부착되지 않았지만 인근 주민들은“예전부터 15호가 분명하다”고 확인해 줬다. 주민 쉬(徐.53)씨는“성리지에 15호는 현재 1층에 창고가 있는 건물의 일부분이 맞다”며“홀수과 짝수지번 거리가 일정거리(약 5m)를 두고 지번이 커지기 때문에 23호 자리에 15호가 올 수는 없다”고 말했다.

▲ 조선민족전선연맹이 위치했던 우한(武漢) 성리지에(勝利街) 15호는 현재 창고로 사용되는 흰색 3층건물<오른쪽>로 현지주민들은 확인하고 있지만 정부는 23호 <왼쪽 사진>를 잘못 조사해 공개하고 있다.
▲ 조선민족전선연맹이 위치했던 우한(武漢) 성리지에(勝利街) 15호는 현재 창고로 사용되는 흰색 3층건물<오른쪽>로 현지주민들은 확인하고 있지만 정부는 23호 <왼쪽 사진>를 잘못 조사해 공개하고 있다.

김구의 암살미수사건이 발생한 창사(長沙)시 난무팅(楠木廳) 역시 기존 4호는 위치조사가 잘못됐다는 주장이 창사시로부터 제기됐다.

창사시는 최근 남목청에 대한 유적보존공사에 착수했는데 기술책임자 완(万.53)씨는“당시 조선혁명당 본부는 현재 난무팅 6호로 2층에서 옆건물과 연결돼 한국정부가 주장하는 4호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지금은 사라졌지만 옆건물서 김구피격이 일어났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복원위치에 대해“1950∼1960년대 문패를 정리하고 몇 번의 변화를 거친 뒤 2호였다가 1990년대 4호에 이어 현재의 6호가 됐다”며“지난해 5∼6월 복원작업이 결정됐고 서류 및 현지주민 고증을 거쳐 1차 복원공사가 진행되고 이어 피격장소에 대한 2차 복원공사가 계획 중”이라고 밝혀 사실로 확인될 경우 정부가 엉뚱한 곳을 김구선생 관련 유적지로 관리해왔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치장 임정청사 역시 조사가 잘못된 지역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치장은 1939년 4월부터 1940년 9월까지 임시정부가 머물렀던 곳으로 국가보훈처는 청사위치를 상성(上升)가 27호로 조사했지만 생존 독립운동가와 관련단체들은“한마디로 말도 안된다”며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임시정부를 구성하던 3당대표는 1938년난무팅(楠木廳) 조선혁명당본부에 서 통합문의를 논의하던 중 저격을 당해 김구는 중상을. 현익철은 즉사한다. 왼쪽사진은 그동안 난무팅 유적으로 잘못 알려졌던 건물 전경.
▲ 임시정부를 구성하던 3당대표는 1938년난무팅(楠木廳) 조선혁명당본부에 서 통합문의를 논의하던 중 저격을 당해 김구는 중상을. 현익철은 즉사한다. 왼쪽사진은 그동안 난무팅 유적으로 잘못 알려졌던 건물 전경.

독립지사들의 각종 회고록과 증언에는 치장에서 강변을 따라 이동녕, 조성환 등이 거주했고 인근에 임정청사가 있었다고 밝히고 있다. 본보는 사실확인에 들어가 현지 주민을 대상으로 취재를 벌인 결과 정부조사가 틀렸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주민들이 하나 같이 임시정부 청사는 강가에 있었다고 증언하기 때문이다.

태어나서 현재까지 치장 투오먼 임정청사 인근에서 살았다는 쩐(詹ㆍ여ㆍ73)씨는“양씨(애국지사 양우조로 추정됨) 성을 가진 부부가 2명의 딸들과 함께 살았었다”며“이동녕 총통(주석)의 거주지와 연이어 분명 비서처가 있었다”고 증언했다.

그는 이어“임정청사 앞의 길은 이전에 린장(臨江)가로 불렸는데 가게가 있고 강가에서는 수영을 했었다”며“당시 비서실은 철거돼 현재 아파트가 지어졌다”고 말해 임정기념사업회 김자동 회장의 증언과 일치했다. /우한ㆍ창사ㆍ치장=맹창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4.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5.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