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지난 2003년 지구대 체제 출범 이후 2~3개 치안센터가 1개 지구대로 통합되면서 생긴 현상인데 5년이 넘도록 뾰족한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27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대전에 있는 치안센터는 모두 37곳에 달한다.
경찰은 이를 ‘거점 근무지’로 활용한다고는 밝히고 있지만 대부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다.
시민들의 신고나 민원을 접수받는 민원담당관이 배치돼 그나마 본연의 역할을 하는 곳은 진잠, 기성, 산내 치안센터 등 3곳뿐이다.
나머지는 온종일 문에 굳게 닫혀 있는 경우가 일쑤며, 치안센터 건물 주변은 제대로 정리가 안 돼 흉물화 되고 있다.
실제 취재진이 찾은 중구 문화2동 치안센터는 문이 잠긴 채 외부에 설치된 민원전화가 이곳이 치안센터임을 짐작케 했으며 인근 대사치안센터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유성구 어은치안센터 역시 경찰관의 모습은 목격되지 않았으며 치안센터 앞은 주변 상인들의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대전에서만 재산가치로 따지면 30억여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국가재산이 별다른 쓰임새 없이 낭비되고 있는 셈이다.
경찰 관계자는 “치안센터는 지구대 직원들이 순찰 시 거점 근무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인력 부족 문제로 민원담당관을 전부 배치할 수도 없다”며 “현재 경찰청에서 치안센터 활용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줄로 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치안센터를 지역 주민들을 위한 복지 및 문화공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방치 중인 치안센터 사무실, 문서고, 주차장 등을 개방해 소규모 전시공간이나 청소년 공부방 등 주민 휴식공간으로 최대한 활용하고 치안기능을 일부 가미하는 쪽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이럴 경우 도시민들의 부족한 복지 및 문화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에게 친근한 경찰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올릴 수 있다.
이창무 한남대 경찰행정학과 교수(경찰청 치안센터 활성화 자문위원)는 “도심 속에 버려지는 치안센터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주민들이 많다”며 “지자체와 금융권과 연계해 치안센터를 문화 및 복지 공간 등으로 만드는 것을 다각도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