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지난 1월 1934년부터 1943년까지 광복이전통계 자료를 공개한 데 이어, 16일 1908년부터 1933년까지 통계를 추가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우선 인구수 변화를 보면, 1911년 인구수는 1406만명으로 지난해 남ㆍ북한 총인구 7166만명의 약19.6%를 차지했다. 이중 한국인은 98.4%, 일본인은 1.5%, 외국인은 0.1%다.
광복 시점에 이를수록 일본인 비중이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1920년 기준 지역별로는 경상북도가 211만여명(12.2%)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과 경남, 경기도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인구 순위는 경기도(22.8%)와 서울(20.7%) 등의 순으로, 광복 이후 진행된 수도권 집중화 현상의 단면을 보여줬다.
1930년 기준 직업별로는 농림ㆍ목축업(80.5%)이 가장 많았고, 상업 및 교통업(6.4%), 작업장 인부와 막노동 등 기타직업(4.8%) 순으로 조사돼, 일제의 통치전략을 엿보게 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는 약39명, 사망자 수는 19명, 혼인율은 10건, 이혼율은 0.5건을 기록했다.
최근 시점과 비교할 경우, 출산률은 높았고, 이혼율은 낮았다.
수출구조는 일본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85.7%로 가장 높았고, 만주국(11%), 미국(0.9%), 중국(0.8%) 등의 순이었다.
임금수준은 일본인에 비해 약2배 낮았고, 고등교육 부문 한국인 비율은 전문학교의 경우 57.5%로 나타났다.
다만 사립을 제외한 관ㆍ공립 전문학교의 한국인 비율은 1/3에 머물렀다. 주요 사망원인은 수막염과 뇌성마비, 간질 등 신경계병과 소화기병, 호흡기병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사망원인 1위가 암이고, 이어 순환기질환 및 호흡기질환이 차지했음을 감안할 때, 상당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1910년 서울의 평균기온은 10.5도로 지난해 13.3도보다 낮았지만, 부산과 대구, 인천, 목포는 당시보다 높아졌다.
이밖에 1940년에는 이리와 표범, 호랑이 등 산짐승에 의한 인명 및 가축피해가 각각 61명, 2445마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