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기록물만이 가진 특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주요 기록물 멸실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국가기록원이 제공한 국내 공공기관의 기록물 보유현황을 보면, 국가기록원 기록물 616점과 지역기록물 1132점 등 모두 1748점이다.
지난 2006년 기록관리법은 지방기록물관리관 설치를 의무화했지만, 정부 지원 부족과 지자체 인식 미흡 등은 지방기록물 관리 부실로 이어지고 있다.
국가기록원 자체 보존시설만으로는 지방기록물의 추가적인 관리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이 계속될 경우, 자치단체 경쟁력 강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후대 전승과 주민이 원하는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에 근본적인 한계가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이와 관련, 국가기록원은 1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방안과 향후과제를 논의하는 제4회 기록관리 포럼을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포럼에는 조이형 국가기록원 보건연구관과 김상호 대구대 교수 등이 참석해, 지방기록물 관리기관 설치 필요성을 역설할 예정이다.
김상호 교수는 일단 현재 여건에서 전국 250개 광역 및 시ㆍ군ㆍ구별 별도 기록물 관리기관 설치는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김 교수는 대체안으로 광역권 통합설치를 제안할 예정이다.
충청권의 경우, 대전시청과 5개 구청, 교육청, 충남도청, 충북도청 등 31개 기관을 한데 묶은 통합 관리기관을 설치하는 방안이다.
또한 대전의 경우, 14개 공공도서관 중 한 곳을 기록관으로 변경, 운영함으로써,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이곳에서 기획전 및 기록문화학교 등을 개최해 시민들에게 복합문화시설로 인식토록 유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상호 교수는 “지방기록물 전담 관리기관이 설치되면, 대국민 서비스 강화와 지자체 경쟁력 강화 등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또한 미래 후손들에게는 가장 값진 유산 중의 하나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