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패망(660년) 뒤 중국 당나라로 끌려간 의자왕의 후예로 당 제후의 왕비가 된 ‘백제의 여인’이 이토록 아름다웠다.
백제 의자왕의 증
▲ 중국 산시성에서 발견된 백제 의자왕의 증손녀 부여 태비 묘지의 덮개돌 탁본. 가로 74cm, 세로 70cm, 두께 13cm이다. |
김영관(한국고대사) 청계천문화관 관장은 13일 “중국 산시 성 고고연구소가 2004년 중국 산시 성의 헌릉(당 고조의 무덤)에 딸린 무덤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부여태비와 남편 이옹의 묘지와 묘비석을 발견했다”며 “최근 묘지 비문의 글자 831자를 판독한 결과 부여태비의 생애와 의자왕 후손의 가계도를 밝혀냈다”고 말했다.
이옹은 당 현종의 아저씨뻘 황족으로, 부여태비가 황족과 결혼했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백제 왕실의 후손이 당으로 끌려가 핍박을 받았을 것이라는 추정은 잘못됐음이 드러났다고 김 관장은 설명했다.
비문에는 부여태비가 의자왕의 아들인 부여융(隆)의 손녀이자, 부여융의 아들인 부여덕장(德璋)의 딸이라고 기록돼 있다. 이옹은 당의 수도 장안 외곽의 영토를 다스렸던 제후 사괵왕(嗣괵王)이었으며 690년에 태어난 부여태비는 711년 이옹과 결혼했고 727년 이옹이 죽은 뒤 맏아들이 왕위를 잇자 태비로 책봉됐다. 부여덕장은 당나라에서 종5품 고위 관직을 지냈다.
비문에는 부여태비의 외모와 성품, 행실을 비롯해 부여태비가 이옹과 결혼한 뒤 집안을 일으킬 만큼 높은 덕성을 지녔다고 기록하고 있다.
“어질고 아름다운 덕을 갖춰 행동을 신중히 하고 마음을 온화하게 하는 예를 갖췄기 때문에 군자의 집안 사람이라고…찬사를 보낸다. 또 부군이 괵국의 왕이 된 것은 (부여태비가) 집안에서 매우 잘했기 때문이라는 말을 들었다.”
이번 발견은 부여융과 그의 손자 부여경(敬) 정도만 알려진 백제 왕실 후손의 행적과 가계도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자료다.
김 관장은 “나당연합군이 사비성을 공격할 때 맨 먼저 투항한 부여문사(文思) 외에 부여문선(文宣) 등 부여융의 아들이 더 있었다는 점도 드러났다”고 말했다.
김 관장은 15일 충북대에서 열리는 제1회 백제학회 정기발표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논문을 발표한다.[동아일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