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중견업체인 동산건설과 구성건설의 최종 부도는 원자재 가격 급등과 입찰제도의 문제점에 기인했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이들 업체는 주택사업에 치중해 미분양에 따른 자금압박보다 제도적 문제에 따른 부도로 이어져 업계가 받아들이는 상황은 심각하다.
4일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상승 조짐을 보였던 원자재 가격이 두배 가까이 폭등했고 이는 업체들의 수익 악화로 이어졌다.
원유가격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은데다 철근값 또한 두배 가까이 폭등하는 등 악재가 겹쳤다.
또 건설경기 침체로 민간공사 발주물량은 눈에 띄게 감소했고 관급공사의 경우 대기업까지 참여하다보니 경쟁이 치열해져 지방 중소업체들의 설 자리가 좁아졌다.
실제로 삼성물산의 경우 지난해까지만 해도 최저가 투찰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지만 올해부터는 적극적으로 달려들고 있다.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대형업체이다보니 지역의 중소업체들과는 한마디로 게임이 되지 않는다.
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발주물량이 감소함에 따라 서울이나 수도권 등지의 대형업체들이 지방에서 발주되는 최저가 공사까지 상당부문 참여하기 때문에 지역 업체들의 밥그릇 마저 빼앗기는 실정”이라며 “정부 정책 또한 대형업체 위주여서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새 정부 들어 국토부나 지자체 등 발주기관이 공공공사 예산절감 10% 추진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도 중소업체들의 목을 죄는 형국이다.
이는 강제사안이 아니고 권장사안이지만 발주기관에서, 그것도 공공공사이다보니 건설사 입장에서는 거부하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실적공사비 확대 적용과 최저가낙찰제 등 중소건설업체들의 경영압박과 부실공사 마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저가낙찰제로 도급했을 경우 통상 예정가격 대비 70% 수준으로 수주하고 있지만 여기에서 또 다시 공사비가 10% 삭감돼 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밖에 없다.
최저가낙찰제의 경우 통상 수익률이 3% 내외지만 최근에는 2%에도 못미치는데다가 원자재 가격이 급등, 손해를 보면서 어쩔 수 없이 공사에 참여하고 있는 형편이다.
대형업체들의 경우 타 현장에서 수익을 내 마이너스 현장에 투입할 수 있지만 지방의 중소업체들은 상황이 달라 손해가 누적되면서 결국 부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실적보유와 현금 유동성 확보를 위해 최저가제 투찰 등 부득이하게 공사에 참여하고 있지만 손해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제도적 문제가 개선되지 않는 한 지역의 중소업체들은 갈수록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