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쓰나미와 고환율 등 각종 경제 악재 때문에 경영상태가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비정규직과 여성, 50대, 서비스직 등은 구조조정 대상 1순위로 꼽히고 있어 안절부절못하는 분위기다.
본보가 대전ㆍ충남지역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구조조정 여부에 대해 파악한 결과, 상당수의 기업이 감원 가능성을 크게 진단했다.
대기업인 A 기업의 경우 국제 원자재가격 폭등으로 인한 원가절감 방안과 오랜 인사 적체를 없애기 위해 임원급 구조조정설이 나돌고 있다.
임원 1∼2명에 대해 재계약하지 않고, 팀장급을 승진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가 기정사실로 되고 있다.
내수시장 비중이 큰 B 중견기업은 지난 9월 계약직원들에게 연말 재계약 불가 방침을 통보했다. 대부분 사무보조나 잡무를 담당하던 직원들이다. 회사 관계자는 “불안한 경기 탓으로, 계약직원들의 업무를 정규직이 분담하는 것으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금융위기가 실물 경기로 이어지면서 기업에 감원 한파가 몰아치는 것이다.
실제 인크루트가 직장인 16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8.8%(805명)가 ‘최근 감원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고 응답했다. 감원을 진행하거나 감원설이 나오는 기업의 재직자 79.5%가 불안감이 커졌다고 답했다.
여성(44.5%)보다는 남성(52.1%)이, 미혼(38.9%)보다는 기혼(54.7%)이, 정규직(47.2%)보다 비정규직(54.6%)이 더 컸다.
연령별로는 40∼50대 중ㆍ장년층, 학력별로는 대졸이상의 고학력층이 불안감이 컸다.
기업별로는 외국계나 중소기업보다 중견기업이나 대기업, 업종별로는 유통무역, 석유화학, 건설 업종, 직종별로는 유통, 물류, 무역과 서비스 종사자가 불안감을 더 느끼고 있었다.
감원에 대한 불안감이 막연한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42.7%(703명)는 ‘감원 중’이거나, ‘감원 얘기가 나돌고 있다’고 대답한 것이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직장인이 상당수라는 얘기다.
이는 대기업(51.4%), 공기업(48.9%), 중견기업(45.3%), 외국계 기업(41.0%), 중소기업(39.5%) 순으로 나타나, 대기업이나 공기업의 감원 한파가 센 상황이다.
지역경제계 관계자는 “97년 외환위기 수준이 아니라고 하지만, 체감온도는 별반 다르지 않다”며 “계약직과 서비스 업종에 이어 기업들이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