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라! 방과후 학교]내손에 사는 세균 무엇이 있을까?

[열려라! 방과후 학교]내손에 사는 세균 무엇이 있을까?

생활 속 과학이야기

  • 승인 2008-10-29 00:00
  • 신문게재 2008-10-30 30면
  • 이경태 기자이경태 기자
11. 손에 사는 작은 생물(생물)

<개념 해설>
미생물이나 세균은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작다. 미생물은 크게 이로운 것과 해로운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손 씻기처럼 간단한 예방으로도 세균에 의한 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만약 여러분이 감기에 걸려 손에 기침을 한다면 비록 눈에는 보이지 않아도 손 안의 세균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돼 그 사람들도 감기에 걸릴 수 있다. 돈처럼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게 되는 물건을 만질 때는 세균 덩어리를 집는 것과 같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활동 목표>
(1) 손에 사는 작은 생물을 확인할 수 있다.
(2) 대조군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손 씻기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준비물>

모둠별: 작고 깨끗한 병 다섯 개, 저온 살균된 우유 250ml, 마르지 않은 흙 한줌, 레몬 즙이나 식초 한 숟갈, 냉장고, 감자, 냄비, 가스버너, 지퍼백

<활동 과정>

활동 1 실 험 하 기
1-1. 다섯 개의 병에 1에서 5까지 표지를 붙인다.
1-2. 250ml의 우유를 각각의 병에 같은 양 담는다..
1-3. 병 1에 “대조군”이라고 쓰고 뚜껑을 닫아 상온에 둔다.
1-4. 병 2에 한 줌의 흙을 넣는다. 뚜껑을 닫아 상온에 보관한다.
1-5. 병 3에 레몬즙이나 식초 한 숟가락을 넣는다. 뚜껑을 닫아 상온에 보관한다.
1-6. 병 4에는 아무것도 넣지 않고 뚜껑을 열어 상온에 보관한다.
1-7. 병 5에는 아무것도 넣지 않고 뚜껑을 닫아 냉장고에 보관한다.
1-8. 일주일 정도 후에 각 병들을 관찰한다.

활동 2 예 상 하 기
2-1. 각각의 병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자신의 생각을 써 보자.

2-2. 왜 그렇게 예상하는지 이유를 써 보자.

활동 3 실 험 하 기
병에서 일어난 변화를 써 보자. 병 안에 있는 우유는 절대로 맛을 보면 안된다. 관찰이 끝난 후에는 병의 내용물을 모두 버린다.

활동 4 정 리 하 기
각 병에서 왜 그런 변화가 있었는지 그 이유를 이야기해 보자.

활동 5 더 해 보 기
5-1. 생감자를 납작하게 썰어 일 분 동안 끓는 물에 담가서 데친다.
5-2. 감자 조각이 식으면 밖에서 이것저것 만졌던 여러분의 손가락을 감자 표면에 문지른다.
5-3. 그리고 손을 씻은 후 또 다른 감자 조각 표면에 손가락을 문지른다.
5-4. 각각의 감자 조각을 지퍼가 달린 비닐 주머니에 각각 넣어 봉한 후 며칠 뒤에 두 조각을 비교해 보자.
5-5. 감자 조각을 비교한 결과는 어떠한가?

지퍼 백1지퍼 백 2

<읽어보기>
손씻기에 관한 다양한 안내를 알아보자.
⑴언제 손을 씻어야 하는가?(미국질병통제센터, 2004)
①아픈 사람을 간병할 때
②베인 상처나 창상을 다룰 때
③화장실 다녀온 후
④화장실 다녀온 어린이를 닦아 준 후
⑤날고기, 가금류, 생선 같은 날음식 취급 후
⑥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⑦동물이나 분비물을 다룬 후
⑧쓰레기 취급 후

⑵ 언제 손을 씻어야 하는가?(미국 식품 위생국, 1998)
부엌에서:
①음식을 먹거나 준비하기 전
②날고기, 가금류, 생선, 계란을 만진 후
③식사와 스낵 후

욕실에서:
①변기 사용 후
②유아 기저귀 교환 후 (유아 손도 함께)
③어린이 변기 사용을 도울 때
④체액 (구토물, 침, 콧물 등)이 손에 묻을 때

⑶ 온타리오 주정부 웹사이트( www.health.gov.on.ca/pandemic)
올바른 손 위생관리는 독감 유행기에 감염 예방과 통제의 기본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손에서 최고 5분까지 생존할 수 있으며 딱딱한 표면에서는 최고 2일까지 생존할 수 있다. 따라서, 손을 깨끗이 자주 씻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손 씻기(손 씻는 방법 그림)

손에 있는 대부분의 균은 손을 씻고, 헹구고, 말리는 기계적인 행위 과정 중에 제거됩니다. 눈에 띄게 손이 더러워졌을 경우에는 반드시 비누로 흐르는 물에 손을 씻어야 합니다.

<손에 사는 세균들>

- 살모넬라균
사람이나 동물에 티푸스성 질환을 일으키고, 또 식중독의 원인균이 되는 것도 있다. 그람(Gram)음성의 간균(桿菌)으로, 포자(胞子)는 없으나 대부분은 편모(鞭毛)가 있고 운동성을 가진다. 사람에게 티푸스성 질환을 일으키게 하는 것에는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 A균 ·파라티푸스 B균 ·파라티푸스 C균이 보통이나, 살모넬라 센다이균(Salmonella sendai)에 의한 티푸스도 간혹 있다. 식중독의 원인균이 되는 것은 장염균 ·쥐티푸스균 ·돼지콜레라균 ·살모넬라-나라시노균 등이 있다.

◆ 곰팡이균
균류 중에서 진균류에 속하는 미생물의 속칭. 보통 그 본체가 매우 가느다란 실 모양의 균사로 되어 있는 사상균(絲狀菌)을 가리킨다.

곰팡이는 포자(胞子)를 형성하여 무성으로 번식한다.
곰팡이에는 물곰팡이, 털곰팡이와 같이 균사에 격벽(隔壁)이 없는 조균류(藻菌類)와 누룩곰팡이, 푸른곰팡이와 같이 균사가 발달하고 격벽이 있는 자낭균류(子囊菌類) 및 무성생식만을 하는 불완전균류 등이 있다.

엽록소가 없고 다른 유기물을 분해섭취하여 생활하므로 자연계의 물질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푸른곰팡이로부터는 항생물질인 페니실린이 채취되고, 누룩곰팡이는 술, 된장, 간장 등의 양조에 이용된다. 식물에 기생하는 녹병균, 깜부기병균과 인체에 기생하는 백선균 등도 있다.

◆ 진드기
진드기과 및 애기진드기과의 작은 거미류이다. 몸길이 0.2~10mm이다. 사람이나 가축의 피를 빨아먹는 흡혈 진드기류 중에는 몸길이가 약 2~10mm인 것도 있다. 머리·가슴·배가 한몸이다. 더듬이·겹눈·날개가 없고 걷는다리는 4쌍이다. 구조가 간단한 눈이 1~2쌍 있는데, 대부분의 응애에는 이 눈이 없어 서로 구별된다. 입틀로는 1쌍의 협각(鋏角)이 있다.

번식은 암수의 교미를 통해 이루어진다. 부화한 유충은 약충(若蟲)을 거쳐 성충이 된다. 유충기에는 다리가 3쌍이지만 탈피하여 약충이 되면서 다리가 4쌍으로 된다. 알에서 부화하여 성충이 되기까지는 약 1개월이 걸린다.

흡혈 진드기류는 일단 사람이나 짐승의 피부에 기생하면 며칠이고 계속해서 피를 빨아먹는데, 주로 방목지의 소나 말에 많이 붙어 산다. 그러나 이들 흡혈 진드기류 중에서도 사람이나 가축에 해로운 것은 약 10%에 불과하고 나머지 90%는 큰 해를 끼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응애와 마찬가지로 형태에 변화가 많고 환경에 적응하는 양태도 다양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5년 세종시 행복도시 아파트 '3425호' 공급 확정
  2. [사설] 철도 지하화, 지자체 재정 부담은 숙제다
  3. [현장]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가보니...亞 최초 몬스터월 눈길
  4. 대전 초등생 희생사건 지역사회 트라우마…심리상담 발길 이어져
  5. [사설] '악성 댓글' 솜방망이 처벌로 못 막는다
  1. [썰] 대전시의회 또 박종선, 뒤끝 가득한 신상발언?
  2. 세종시 9개 공공기관, 청렴 교육으로 공직 신뢰 강화
  3. 생명연 실험용 원숭이 수입 업무처리 등 부적절 NST 감사 지적
  4. 대전노동청, 임금체불 지자체 공무원 체포
  5. 한국영상대의 로맨틱 코미디 '로망스', 영화계에 신선한 바람

헤드라인 뉴스


14년 흉물 대전 현대오피스텔, 정비사업마저 `지지부진`

14년 흉물 대전 현대오피스텔, 정비사업마저 '지지부진'

대전역과 복합터미널을 잇는 중심에 위치하고도 지난 14년간 속 빈 건물로 남은 동구 성남동 현대그랜드오피스텔이 재건이냐 폐허로 그대로 방치되느냐 중요한 시간을 맞이했다. 국토교통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정비사업 대상지이지만, 사업시행에 필요한 소유주 동의율이 부족해 아예 좌초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지상 18층의 화약고 같은 위험을 청산하고 정비사업을 시행해 지역 자산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본다. <편집자 주> 14년 넘게 도심 속 흉물로 방치된 대전 동구 성남동 현대오피스텔이 5년 전부터 시행 중인 정비사업마저 지..

[르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직접 방문해보니… 인피니티 풀이?
[르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직접 방문해보니… 인피니티 풀이?

20일 대전 중구에 위치한 프로야구 한화이글스 새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가 드디어 베일을 벗었다. 다음 달 5일 개장식에 앞서 대전시가 이날 지역 언론사 기자 등 100여 명을 초청 프레스데이를 연 것이다. 야구장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야구 모자와 배트를 든 꿈돌이와 꿈돌이 가족이 방문객을 반갑게 맞이했다. 꿈돌이 가족을 본 참석자들은 "귀엽다"는 말을 연신 내뱉으며 사진을 찍었다. 볼파크는 지하 2층부터 지상 4층까지 총 6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날 투어는 4층부터 시작됐다. 4층은 볼파크의 최고층으로 야구장 전경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 고 박가영씨 목원대 명예졸업 "빛나던 열정 기억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 고 박가영씨 목원대 명예졸업 "빛나던 열정 기억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인 고 박가영씨가 동기들과 함께 졸업의 순간을 맞았다. 패션을 통해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던 꿈 많던 대학생은 이날 학사모를 쓰지 못했지만, 그가 사랑했던 캠퍼스는 빛나던 열정을 기억하며 명예졸업을 선사했다. 목원대는 20일 '202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갖고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희생자인 고 박가영씨에게 명예졸업증서를 수여했다. 참사 가영씨는 당시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었고, 올해 23세가 된 그의 동기들은 졸업을 한다. 가영씨는 중학교 시절 TV에서 목..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팬들이 기다리던 꿈의 구장…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커밍쑨’ 팬들이 기다리던 꿈의 구장…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커밍쑨’

  • ‘유물을 지켜라’…한국족보박물관 소방훈련 ‘유물을 지켜라’…한국족보박물관 소방훈련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