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미분양 물량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를 우려한 금융권에서는 대출금 만기연장을 꺼린 채 조기상환에 들어가는 등 압박이 심하다.
이로 인해 신규사업을 위한 추가대출은 꿈도 꾸지 못하고 있으며 만기연장만 되도 감지덕지한 형편이다.
지역의 한 중소건설업체 관계자는 “최근 대출금 만기연장을 위해 금융권을 찾았는데 20%에 가까운 금리를 요구한 경우도 있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실제 A업체는 ‘미분양 물량으로 묶인 자금이 5000억 원이 넘는다’, ‘회사채 발행을 적극 검토했다’, ‘세금을 체납했다가 최근 해결했다’는 등의 소문에 시달리고 있다.
B업체는 ‘사옥이 가압류를 당했고 조만간 큰 위기가 닥친다’, ‘자금압박이 심해 부도 가능성이 있다’는 등 출처없는 루머가 나돌았다.
C업체 역시 ‘본사의 부도위기로 분양을 미루고 있다. 이미 서울 증권가에서는 기정사실화되고 있다’는 소문이 자금 시장에 퍼졌다.
타 지역의 D업체는 위기설 해명에 나섰다가 오히려 더 오해를 샀고 E업체는 현금 확보를 위해 사옥을 내놨다가 부도설로 곤혹을 치르는 등 건설업체를 향한 무차별적인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어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지역업체 뿐만 아니라 서울의 굴지의 건설업체들도 이 같은 억측성 부도설로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서울의 F,G,H 등 몇 몇 대규모 건설사들도 최근 금융가에 떠도는 부도설로 인해 자금압박을 받는 등 곤혹을 치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업체들은 이같은 소문에 대해 “전혀 근거없는 소문이다. 대꾸할 가치도 없는 찌라시에 불과하다”고 일축하면서도 소문 확산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눈치다.
자칫 소문이 일파만파 확산될 경우 기업 경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무차별 유포되고 있는 헛소문은 멀쩡한 기업까지 자금난을 겪게 할 가능성이 높다.
최악의 한 해를 보내고 있는 건설사들을 미분양 못지않게 괴롭히는 것이 바로 자금 시장에서 퍼지는 ‘유동성 위기설’이기 때문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금융권에서도 돈줄이 말라 업체들이 유동성 자금확보에 비상이 걸린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부도로까지 이어질 정도는 아니다”며 “건설업계 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확인되지 않은 괴소문으로 선의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를 나타냈다./백운석ㆍ이영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