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로 집을 구입한 대출자나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사업을 추진한 주택건설업체들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정부가 수도권 위주의 정책을 고집하고 있어 지방의 고사 위기는 더 심각해지고 있다.
18일 금융권과 주택건설업계에 따르면 올 초부터 오르기 시작한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좀처럼 떨어지지 않아 주택을 담보로 집을 구입한 대출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2002∼2006년 주택가격 상승기에 대출로 집을 구입한 대출자들의 경우 이자만 내는 거치기간이 끝나 원리금 분할상환에 들어가기 때문이 고통이 이만저만 아니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지출할 금액이 그만큼 많아져 생활비 등을 최대한으로 쪼개 가까스로 버티고 있다.
원금은 고사하고 이자 내기도 벅찬 실정이다.
PF로 사업을 추진한 중소건설업체들은 부실을 우려한 금융권에서 만기 연장을 규제하고 조기상환을 추진, 자금압박이 심각하다.
올 연말이면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는 업체들이 많아 줄도산 소문도 심심찮다.
일부 업체는 경기침체에다가 미국발 금융악재까지 겹쳐 아예 회사를 정리할 생각도 하고 있다.
최근의 사태는 경기 침체로 인한 주택담보대출 연체를 불러오고 대출담보 즉, 주택의 가격 하락과 이로 인한 금융기관 부실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생기는 것이다.
정부는 19일 서민주택공급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은 그린벨트 해제와 재건축, 재개발 사업 활성화를 통한 공급 확대로 알려졌다.
수도권 그린벨트 일부를 풀어 주택단지를 조성하고 재건축, 재개발 활성화 및 단지형 다세대주택 도입 등 수도권의 주택공급을 늘리려는 의도다.
지방보다는 서울이나 수도권을 의식한 정책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방에서 시작된 미분양 대란이 수도권까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급확대 정책으로는 주택경기 활성화를 꾀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방의 경우 주택난이 심한 서울과 사정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주택건설업체 관계자는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각종 대책들이 실제 시장에서는 거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며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 요구하는 것은 특혜를 달라는 것이 아니고 지방에 맞는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joongdoilbo.co.kr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