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재수 정치팀 서울 |
철도공사가 정기권 소유자들의 편익을 무시한 채 자유석이 있는 17,18호 좌석을 예매를 통해 발매했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정기권 소유자들은 빈 자리를 찾아 이곳 저곳 다녀야 했고, 1시간 거리인 서울역까지 졸지에 서서 온 이용자들이 속출했다. 그런데 이러한 사태를 발생시킨 철도공사의 해명이 가관이다.
철도공사는 “이번에 공공성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다보니 이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공기업인 철도공사의 공공성도, 수익성도 인정할 수 있다. 하지만 공공성과 수익성 모두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은 공공기관이 갖춰야할 상식이다.
더구나 철도공사 내부에서 정기권 소유자들의 불편 등 문제점을 제기하며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져, 철도공사 관계자들이 무슨 생각으로 밀어붙였는지 궁금하다. 현장에서 일을 하는 직원들의 목소리를 무시한 채 좌석을 발매했다는 것도 문제다.
현장 근무자들은 “16일에는 좌석을 발매하지 않는 것이 좋을 듯하다, 좌석을 발매하면 정기권 이용자들의 불편으로 인해 민원이 제기될 것이라고 언질했다”고 한다. 하지만 정작 현장의 목소리는 무시됐다. 현장에 있지도 않은 직원들이 책상에 앉아서 얼마나 많은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겠는가.
철도역사는 올해로 109주년이나 된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국철도가 발생 가능한 승객의 불편을 한번 더 생각하고,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을 했다면 이용객들의 민원은 사지 않았을 듯 하다.
공공성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은 현장을 배제한 책상머리에서 결코 나올 수 없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