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역 개편은 1960년대 본격적으로 시작된 도시화의 과정과 합리적인 행정구역 조정 필요성에 따른 것이었으며, 대전과 충남도 이때의 개편 과정을 통해 지금에 이르는 행정구역의 기틀을 갖추게 된다.
이때 금산군 전체와 익산군 일부가 전북에서 충남으로 편입되고, 천안군은 천안시와 천원군으로 분리되면서 충남은 ‘1시 14군`에서 ‘2시 15군` 체제로 행정구역이 변경된다. 당시 대전시 역시 대덕군 유천면 일대와 회덕면 일부 지역을 편입해 시세를 넓혀간다.
이때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전시는 외형상 대도시로서의 기반을 갖춰나가기 시작했으며, 1949년 개시(開市) 당시 12만 여명이었던 인구는 이 당시 28만 여명으로 증가했다. 최근 일각에서 금산군의 대전시 편입을 추진하면서 일고 있는 논란도 눈 여겨 볼 만한 대목이다. 반대 여론에 50여 년만에 또 다시 행정구역 변경으로 지역 정체성이 훼손될 것을 우려하는 정서도 깔려 있기 때문이다.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는 도시의 팽창과 생활권의 변화 외에 지역 주민들의 이해도 반영되기 마련인데, 이후 충남지역의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는 이러한 이유들이 반영돼 있다.
이후 충남의 행정구역은 1989년 대전시의 직할시 승격과 함께 다시 한번 대대적인 개편을 맞는다. 대전시가 대덕군 전체를 통합해 직할시로 승격되고, 유성구와 대덕구가 신설돼 현재의 5개구 시대가 열리게 된다. 이때 대전의 인구는 100만명을 넘어선다. 대덕군의 편입 당시 대전과 충남 모두에서 찬성 입장이 우세했으나, 신탄진읍에서는 충청남도 산하의 별도 시로 분리하려는 움직임도 존재했다. 그러나 생활권과 주민들의 이해관계 등 여러 문제로 결국 대덕군 전체가 대전으로 편입돼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충남의 행정 구역은 이후 1995년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다시 한번 변화를 겪는다. 1980년대 시로 승격·분리됐던 공주와 대천·온양·서산·천안 등이 본래의 군과 통합돼 도농복합 형태의 시로 변경된다. 이때 온양 등 시·군이 서로 다른 지명을 사용하고 있던 지역에서는 통합시의 명칭을 둘러싸고 갈등이 빚어졌으며, 당시 통합된 아산시가 최근‘아산온양시`등으로 명칭 변경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는 등 명칭을 둘러싼 논란은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후 충남은 2003년 계룡시의 승격으로 현재의 7개 시와 9개 군의 행정구역 체제를 갖추고 있다. 또 충남에서는 현재 행정도시 건설을 앞두고 세종시의 법적 지위와 이에 따른 행정구역 설정 문제를 두고 논란을 빚고 있다.
이러한 행정구역 개편 과정은 지역 주민의 생활 환경 및 지역 발전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었다. 최근에는 정치권을 중심으로 행정구역의 대대적인 개편 논의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것이 현실화 될 경우 각 지역의 발전과 주민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종섭 기자 noma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