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시티를 만들자>하수 20% 줄여 ‘3대 하천’

  • 정치/행정
  • 대전

<그린시티를 만들자>하수 20% 줄여 ‘3대 하천’

대전하수처리장 하루 65만t 처리 갑천방류 수질 농도 10ppm→6ppm으로 낮출 방침

  • 승인 2008-09-04 00:00
  • 신문게재 2008-09-05 2면
  • 박기성 기자박기성 기자
글 싣는 순서
1. 생활하수를 줄이자
(1) 우리가 버리는 생활하수, 얼마나 될까
(2) 르포 <수돗물 It`s 水의 비밀>
(3) 대전시의 맑은 물 정책
(4) 생활하수, 이렇게 줄이자
(5) 전문가 의견
(3) 대전시의 맑은 물 정책

물의 수요가 늘면서 물 부족으로 인한 향후 전 세계의 위기감은 갈수록 고조돼가고 있다.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최신호에서 ‘물 부족이 석유 위기처럼 세계 경제와 기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도 ‘전 세계 물 소비가 20년마다 2배씩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개발도상국마다 무분별한 산업화 과정을 통해 강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으나 물은 석유와 달리 대체재가 없다는데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대전시의 물 사용량은 지난해 기준 1일 51만여 t 규모다. 이 가운데 상수도는 43만여 t, 지하수는 8만여 t에 달한다. 상수도의 경우 이를 생산비용으로 환산한다면 1일 2억900여만 원에 달한다. 이 같은 엄청난 물은 대부분 하수로 버려져 하천의 주된 오염원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전시의 물 관리 정책의 주된 방향은 이 같은 하천 오염원인 하수의 량을 줄여나가는 것이다.

대전시 맑은물정책과 하수관리담당 이광덕 계장은 "1일 64만t에 달하는 하수 가운데 20% 가량을 줄이는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며 “하수량의 증가는 곧 하천 오염과 비례됨은 물론 처리비용의 증가는 곧 하수사용료의 증가 즉, 시민혈세의 증가로 이어짐을 시민들에게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전시 물 관리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하수처리장이 현재 4곳 운영 중이다. 대전하수처리장을 비롯해 흑석·자운 및 3·4 폐수처리장 등이다.

유성구 원촌동에 위치한 대전하수처리장의 경우 지난 2002년까지 3013억 원을 투자해 4단계에 걸쳐 1일 90만t의 하수처리시설을 갖추고 9월 현재 1일 하수 및 오·폐수 65만t을 처리하고 있다. 대전 시내 각 가정에서 쓰고 버리는 물이나 화장실의 폐기물은 하수관거와 차집관거 등을 거쳐 이곳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다. 이곳에 집결된 오·폐수는 모래나 잡쓰레기 등을 제거하는 유입침사지를 거쳐 슬러지 등을 제거하는 1차 침전지-생물반응을 통해 유기물을 제거하는 포기조-2차 침전지 등을 거쳐 갑천으로 방류된다.

오·폐수에 섞여있는 각종 잡쓰레기를 응고시킨 슬러지의 경우 대전하수처리장에서만 1일 270t이 쏟아져 나온다. 현재 이들 슬러지는 연간 처리비용만도 60억 원에 달한다.

대전시 시설관리공단 송의열 수질관리팀장은 “오는 2011년부터 런던 국제협약에 의거, 하수슬러지의 해양 배출이 금지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처리방안도 대전시의 고민거리 가운데 하나”라며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하수처리장 등을 둘러보게 하려는 것은 시설 견학을 통해 시민의식 제고와 함께 하수의 량을 줄이려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하수처리장 수질 농도를 현재의 10ppm에서 오는 2010년까지 6ppm으로까지 낮출 방침이다. 또한 2011년부터 적용되는 수질오염총량제를 감안, 현재 운동시설로 남아있는 공간에 고도처리 및 3차 처리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대전시는 이 같은 맑은 물 정책을 통해 대전의 3대 하천을 생명력과 감성이 살아있는 행복한 하천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대전시 맑은물정책과 전재현 과장은 “3대 하천의 수질개선, 수량확보, 생태복원 등을 통해 시민이 늘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친근한 하천 즉, 행복한 하천 만들기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박기성 기자 happyda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5 자전거 타고 '행복도시 명소' 투어....4월 26일 열린다
  2. 박수현 "세종 행정수도 서울 경제수도…李 의지확고"
  3. K리그1 1·2위 맞대결…19일 대전하나시티즌vs김천 상무
  4. 세종 아파트값 1년 5개월만에 상승 전환…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 향후 상승 관측
  5. [박현경골프아카데미]백스윙 어깨 골반 회전! 당기서, 누르고, 돌려주세요
  1.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매각부지 활용안 찾는다
  2. 천안검찰, 2만5000원에 롤 계정판매 사기 혐의 '벌금 50만원' 구형
  3. 대전교통공사, 장애인의날 교통약자이동지원차량 무료운행
  4. 책 읽기 좋은 날
  5. 세종충남대병원 서정호 교수, 학대예방경찰관 대상 교육 실시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집권 시 일단 용산 대통령실을 집무실로 쓸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음 단계로는 청와대를 신속히 보수해 들어가고 최종적으로는 개헌을 전제로 세종시로 이전하겠다는 뜻을 덧붙였다. 6·3 조기대선 정국에서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가 뜨거운 화두로 오른 가운데 그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으로 주목된다. 이 후보는 18일 오후 MBC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나와 '만일 당선되면 대선 직후 대통령 집무를 어디로 시작할 것이냐'는 김경수 경선 후..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국토교통부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기존보다 쉽게 추진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정을 조정한다.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요건에 무허가 건축물을 포함하고, 재건축진단(옛 안전진단)은 세부평가 항목을 늘려 노후 아파트의 재건축 문턱을 낮추는 게 골자다. 대전에서도 노후아파트 재건축 추진 움직임이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관련 절차 진행에도 활로가 뚫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토부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시행령' 하위법령 개정안을 18일부터 다음 달 28일까지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발표했다.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재건축진단 기준' 하..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가 저출산과 지방소멸 등 국가적 위기 속 전국에서 유일하게 결혼과 출산 지표가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의 기업유치 및 다양한 청년 우선 정책이 빛을 발한 것으로풀이된다. 대전시에 따르면 과거의 대전은 교통과 주거 등 인프라 측면에서 살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가 짙었다. 그러나 지금 대전은 행정당국의 '기업 유치-대전 정착-결혼-육아-노인 복지'로 선순환 정책이 자리를 잡으면서 청년 세대에게 '살고 싶은 도시'라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도시로 성장했다. 대전 청년 정책의 효과는 통계 지표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통계청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