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이 지역경제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상황에서 중심축이 무너져 기반 자체가 휘청이고 있는 것이다.
고금리와 고물가에 따른 수요 기근으로 미분양이 쌓여있고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건설업체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부실을 우려해 대출을 틀어 막고 미분양이 적체돼 이래저래 자금회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경영압박은 가중되고 부도업체는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말 줄부도설까지 나도는 등 흉흉하기 그지 없다.
▲부도업체 급증 = 일반건설업체 가운데 지난 2006년 대전과 충남·북 지역의 부도 업체 수는 5곳.
지난해에는 4개 업체가 부도를 냈지만 올해는 지난 7월 말 현재 8개 업체가 위기를 버티지 못하고 쓰러졌다.
최근의 경제위기 상황을 고려하면 올 연말 줄부도설이 빈 말이 아님을 짐작하게 하고 있다.
전문건설업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지난 4월과 5월 대전과 충남·북 지역에서 5개 업체가 문을 닫았지만 지난 7월에는 충남 10개 업체를 비롯, 충북 4개, 대전 2개 업체가 부도처리 됐다.
▲미분양 심각 = 지난 6월 말 현재 대전과 충남·북 지역의 미분양 아파트는 2만5900가구.
대전은 3076가구가 미분양으로 집계돼 전월에 비해 806가구, 35.5% 폭증했다.
지난 2000년 12월 3500가구를 기록한 이후 최대 수치다.
충북도 638가구 늘어난 6074가구가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충남은 1만6750가구가 미분양으로 집계됐다.
대구(2만535가구)와 경남(1만7380가구)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 많은 미분양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대전과 충청권에 수조 원의 자금이 그대로 묶여 있는 셈이다.
▲침체 원인 = 건설경기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건설업체 증가로 수주경쟁이 갈수록 치열해 지면서 생존경쟁에서 도태되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갈수록 공공 공사 발주 물량은 줄어들고 정부는 예산절감 차원에서 한푼이라도 금액을 줄이고 있어 공사를 수주하더라도 손해를 보는 경우가 허다하다.
최저가 공사 수주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참여정부 시절 강력한 부동산 대책으로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는 등 주택시장의 급랭으로 지방 건설경기가 크게 위축된 것도 크게 작용했다.
▲악영향 ‘쓰나미` = 일반건설업체 부도는 하도급업체와 자재업체 등 연관산업의 연쇄부도를 가져온다.
일반건설업체가 부도날 경우 하도급업체나 자재납품업체, 일용직 노동자 등에 대한 대금 체불로 이어져 지역경제의 위축이 불가피하다.
지방의 중소건설업체들이 어려움을 겪는 사이 수도권 등지의 대형업체들은 오히려 경쟁이 수월해 져 건설산업 전반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김만구 대한건설협회 대전시회 사무처장은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폭등, 건설공사 채산성 악화, 원가부담 가중 등 건설업체들의 체감경기는 사상 최저수준을 기록하고 있다”며 “지금을 경제를 살리는 것이 최우선인 만큼 정부에서는 특단의 정책으로 건설경기를 살려 시장경기로 반전시키는 과감한 정책결단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joongdoilbo.co.kr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