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자격증 취득 등 능력이 뛰어나고 조건이 좋더라도 구직기간이 장기화될 경우 채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크루트가 기업의 인사담당자 190명에게 구직기간이 장기화 될 경우 취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물어본 결과, 92.6%가 ‘그렇다`고 답했다.
36.4%가 ‘매우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고, ‘조금 영향을 미친다`라고 답한 담당자는 60.2%, ‘상관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3.4%에 불과했다. 구직기간이 장기화될 경우 채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구직기간의 경우 신입은 ‘1년 이상`(39.8%)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6개월 이상`(33.0%), ‘3개월 이상`(18.2%), ‘9개월 이상`(9.1%) 순으로 이어졌다.
경력의 경우 ‘6개월 이상`(36.4%)이 가장 높았으며, ‘3개월 이상`(27.3%), ‘1년 이상`(21.6%), ‘9개월 이상`(14.8%) 등의 순이었다. 신입은 1년, 경력은 6개월을 넘기지 않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이유는 다양하다.
신입의 경우 ‘취업을 못하는 다른 이유가 있을 것 같아서`(63.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취직에 대한 노력 부족이라는 생각 때문에`(28.4%), ‘열정이 식었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4.5%) 등이란 의견이 나왔다. 경력은 신입보다 열정을 중요시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물론 구직기간이 길어도 채용에 불이익을 받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인사담당자들의 90.9%가 구직기간이 장기화 되더라도 ‘뚜렷한 목표가 있는 활동`(44.1%)을 했거나, ‘직무와 관련된 학습`(35.6%), ‘어학 공부`(12.1%) 등으로 시간을 보냈다면 구직기간이 길어도 채용시 불이익이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