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들 업종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한 먹거리의 확보, 쾌적한 생활, 여가의 활용 등 국민 삶의 질과 직결된 분야로, 국가 차원의 장기적인 대책마련이 다시 한번 요구되고 있다.
20일 통계청의 농림·어업 총조사 종합분석 보고서를 보면, 인구분포의 경우 농가 인구는 2005년 기준 전체 인구 대비 7.3%로 25년만에 1/3로 감소했으며, 2020년에는 전국 인구의 4.7% 수준인 234만명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어가 인구 비중도 전체의 0.5%로 전년 대비 12%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다만 산림 비중이 높은 국내적 특성과 고소득 작물 등의 특성이 반영된 임가 인구는 0.6%로 다소 상승하는 추세다.
특히 농촌사회의 65세 이상 고령층 비중은 지난 25년동안 6.7%에서 29.1%로 늘어나는 등 농촌사회 붕괴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젊은층의 이탈이 눈에 띄게 증가하기 때문으로, 이는 남성의 미혼률로 확인할 수 있다. 20대는 94.3%, 30대 초반은 66.3%, 30대 후반은 35.6%, 40대 초반은 4.8%에 이른다.
산업구조도 보다 빠르게 재편되는 양상이다.
2005년 기준 국내 총생산액 중 농림·어업 비중은 3.3%인 반면, 제조업은 28.4%, 서비스업은 67.8%를 차지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2005년 기준 국토 전체 면적 중 농경지와 임야 비중 역시 각각 20.2%, 65%로 해가 갈수록 대지(2.5%)와 공장용지(0.6%)에 자리를 빼앗기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반영되면서, 국내 농업구조도 생존을 위한 변화의 갈림길에 서있다.
2h 이상 대농의 경우 임차지 비중이 1980년 17.2%에서 2005년 54.5%로 확대됐고, 친환경농업 실천 농가수도 지난 5년간 44.7% 급증하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특용작물이 121.6% 증가해 가장 높았고, 과수(80.4%)와 논·벼(25.2%), 채소(23.5%)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 농업보조금은 OECD 가입국 전체 평균인 15.5%에 크게 못 미치는 5%에 머물고 있다.
농림·어업이 미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지표로 부각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국가 차원의 장기적인 대책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희택 기자 nature28@joongdoilbo.co.kr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