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의 한 경찰서 캐비닛 안에 지난해 운영을 시작한 ‘TSI’ 현판이 방치돼 있다. |
지난해 경찰이 떠들?하게 시작했던 ‘절도특별수사팀`이 대표적인 예로 지적된다. 경찰은 지난해 5월 서민 생활을 가장 크게 위협하는 절도범을 소탕하겠다며 대대적인 절도특별수사팀 운영에 들어갔다. 당시에도 일각에서는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지만 경찰은 내부 공모를 통해 ‘TSI(Thief Special Investigation)수사대`라는 거창한 명칭까지 붙여가며 각 지방청 및 1급지 경찰서에 수사팀을 설치했고, 두달 뒤에는 검거실적을 자랑하며 2급서에까지 운영을 확대했다.
이에 따라 대전과 충남에서도 각각 5개와 6개 경찰서 및 지방청 광역수사대 내에 1개팀이 절도특별수사팀으로 지정돼 운영에 들어갔지만, 1년 여가 지난 현재 경찰 내부에서조차 의구심을 갖을 정도로 유명무실한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실제 대전의 한 일선경찰서에는 지난해 야심차게 내걸었던 ‘TSI` 현판이 캐비닛 한쪽에 아무렇게나 방치돼 있으며, 충남지방경찰청의 경우 광역수사대에 설치됐던 특별수사팀이 올해 초 인사 이후 사실상 운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 지방청에서는 일선서의 운영실태나 실적 조차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앞서 지난해 초 설치·운영에 들어갔던 ‘경제범죄특별수사팀` 역시 별다른 성과없이 6개월 여만에 꼬리를 감추기도 했다.
경찰청의 방침에 따라 충남경찰은 지난해 2월 경제범죄특별수사팀을 신설·운영에 들어갔지만 대전지방경찰청 분리에 따른 인력 부족을 이유로 지난해 8월께 공식 해산했다. 당초 이와 관련해서도 경찰은 올해 1급지 경찰서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전문성을 갖춘 수사체제를 도입해 지능적인 경제범죄에 대처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었다.
대전·충남지방경찰청 관계자는 “TSI는 현재도 운영 중으로 그 동안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대팀제 시행 등 수사 조직 구조 변화와 맞물려 재검토 될 필요성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종섭 기자 noma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