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위원장은 중구난방 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고조사의 효율성을 지적하면서 국가적 차원의 보상매뉴얼 마련과 피해어민 결집을 위한 의식개선을 강조했다.
다음은 이 위원장과의 1문1답.
-사고 이후 업무추진 상황은.
▲우선 대책위를 구성하고 그동안 유사한 사고가 발생했던 여수와 일본지역을 찾아 배상관련 자료를 수집했다. 유류사고 사상 처음으로 증거보존신청을 했으며, 손해사정기관을 선정하는 등의 업무를 진행했다. 배상문제를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거의 매일 회의를 진행하면서 전쟁 같은 시간을 보냈다. 자정 전에 퇴근한 적이 없다.
-사고가 발생한 지 반년이 돼간다. 그간 아쉬웠던 점이 있다면.
▲가장 안타까운 것이 유류사고의 방제작업과 배상 등에 관한 국가적 체계가 없다는 점이다. 여수 씨프린스호나 광양만 금동호 사건 등 유사한 사례가 있었음에도 정부 차원의 매뉴얼이 만들어지지 않은 점은 결국 주민들의 혼란을 부추겼고, 사고 조사와 배상에 대한 중구난방 식 접근을 조장했다. 그로 인해 필요 없는 돈이 허비되고 협상효과가 떨어지는 등 이중손실이 발생했다고 본다. 피해지역과 비 피해지역은 물론 피해지역 내에서도 결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는데 이는 결국 2차적인 피해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배상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감이 높은데.
▲기대감은 의식에 기반 한다고 생각한다. 가까운 일본과 우리나라의 유사한 사고를 놓고 보면 피해의식 자체가 다르다. 한마디로 일본은 방제작업 자체도 보상의 일종으로 받아들인다. 일반적인 사고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들이 빠른 복구를 통해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초점을 맞춘다면 우리나라의 경우 배상과 보상에 대한 높은 기대치를 정해 놓고 오로지 그것을 관철시키는 데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협상의 구심점을 찾고 한 목소리를 내는 데 이 같은 성향은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높은 기대감만큼이나 똘똘 뭉친 목소리를 낼 수 있었으면 한다.
-손해사정기관 선정 등 추진과정에 잡음이 많은데.
▲일부 주민들의 선동과 구심점 부재가 원인이라고 본다. 대책위원장의 입장에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을 수는 없지만 가급적이면 확인이 안 된 사실들에 대해서는 귀담아 듣지 않으려 하고 있다. 피해지역과 비 피해지역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달라 대책회의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하지만 대책위원장이 흔들리면 안 된다는 신념으로 극복하고 있다./특별취재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